|
이 후보는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에 "우리나라는 비교적 짧은 기간 내에 건강보험 보장성을 크게 향상시켰고 수준 높은 의료서비스 체계를 구축했다"며 "그 중심에는 밤낮없이 현장을 지켜온 의료인의 헌신이 있었다"고 설명했다.
이 후보는 "하지만 여전히 '거주 지역'과 '민간보험 가입 여부'에 따라 의료서비스의 격차가 존재한다. 아파도 갈 병원이 주변에 없고 병원 문턱은 점점 더 높아지고 있다"며 "의료접근성이 실질적인 환자의 필요보다 지역여건, 소득 수준, 의료기관 분포에 더 크게 좌우되고 있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환자의 필요와 안전을 최우선으로 하는 의료개혁, 요양과 돌봄까지 이어지는 포괄적 개편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 후보는 △공공의료 강화 △의대정원 합리화 △통합돌봄 체계 구축 등의 정책을 제안했다.
공공의료 강화와 관련해선 "공공의대를 설립해 공공·필수 지역 의료 인력을 양성하고 디지털 인프라를 기반으로 한 차세대 공공의료 시스템을 갖춘 공공병원을 확충해 가겠다"며 "지역 간 의료 격차를 줄이고 지방의료원에 대한 지원을 확대해 공공의료 거점기관으로 육성하겠다"고 약속했다.
또 "건강보험 재정 안정과 효율적 사용을 위해 건강보험 제도를 개혁하고 환자의 권리와 안전을 최우선으로 보장할 수 있도록 의료 시스템을 강화하겠다"고 다짐했다.
의대정원 합리화에 대해선 "의료 대란은 모두에게 고통을 남겼다. 정부의 일방적 결정에 의료계는 대화의 문을 닫았고 결국 국민이 가장 큰 피해를 입었다"며 "이제 갈등과 대립, 정쟁을 끝내야 한다. 국민의 생명과 건강을 중심으로 모두가 머리를 맞대야 한다. 모든 이해당사자가 참여하는 사회적 합의에서 다시 출발해 AI와 첨단 과학기술 발달에 따른 시대변화까지 고려해야 한다"고 했다.
아울러 통합돌봄 체계 구축과 관련해선 "의료-요양-돌봄이 유기적으로 이어지는 시스템을 구축하겠다"며 "내년에 시행되는 '돌봄통합지원법'을 기반으로 지속가능한 지역사회 건강돌봄체계를 완성하겠다. 누구도 돌봄에서 소외되지 않은 사회를 만들겠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