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과기부, 민·관 협력 플랫폼 기능 강화로 사회문제 해결 확산 도모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423010013630

글자크기

닫기

이하은 기자

승인 : 2025. 04. 23. 12:00

민간기술-정부 데이터 결합 방식…홍수알림·빈대지도 등 성과
민간 서비스 플랫폼 연계로 사회문제 해결 기능 강화 예정
clip20250423110722
'민·관 협력 지원 플랫폼'을 통해 개발된 '홍수위험 알림 서비스'. /제공=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정부가 민간과 협력해 사회문제 해결을 지원하는 플랫폼 기능 강화로 사회문제 해결 사례를 확산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3일 민간과 공공이 협력해 사회문제 및 국가적 위기 상황에 함께 대응할 수 있도록 설계된 '민·관 협력 지원 플랫폼'의 실행 기반을 강화하고, 민간 기술과 디지털 자원을 연계해 실질적인 문제해결 사례를 지속 확산하겠다고 밝혔다.

'민·관 협력 지원 플랫폼'은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공공과 민간의 협업을 촉진하는 디지털 기반 플랫폼으로, 민간 클라우드, 데이터, 개발도구, 협업 환경 등을 원스톱으로 제공하고 있다. 기존의 정부 사회현안 해결 방식인 기술개발-실증 방식이 아닌 민간의 첨단 기술과 정부가 보유한 데이터를 결합한 새로운 방식을 도입한 것으로, △홍수 발생 시 내비게이션을 통해 침수 위험구간을 실시간 안내하는 '홍수위험 알림 서비스', △의약품 수급 문제를 해결을 위한 '스마트 교품 서비스', △빈대 확산 대응을 위한 '빈대 지도' 개발 등이 대표적인 성과로 꼽힌다.

과기부는 올해에는 민간에서 제공하는 서비스(API, SDK 등)를 플랫폼에 직접 연계함으로써 사회문제 해결 기능을 강화할 계획이다. 특히 카카오모빌리티와의 협업을 통해 길찾기 API(Application Programing Interface) 5종 및 소프트웨어 개발 도구(SDK) 등이 플랫폼을 통해 제공된다. 이는 배달, 세탁, 전기차 충전소, 가까운 주유소 찾기 등 다양한 교통 관련 서비스에서 활용되고 있다. 과기부는 또 연계된 기술이 교통약자 지원, 응급상황 대응 등 공공 분야의 실질적인 서비스 개발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플랫폼 사용자(시민개발자, 스타트업 등)는 오는 23일부터 플랫폼 내 신청 버튼을 통해 간편하게 인증을 받고 활용할 수 있다. 플랫폼에서 제공되는 API는 카카오모빌리티 디벨로퍼스 홈페이지 대비 약 2배의 무료 호출 건수가 제공된다.

엄열 과기부 정보통신정책관은 "민·관 협력 지원 플랫폼은 디지털 기술을 활용해 사회현안 문제를 민간과 함께 해결할 수 있도록 하는 중요한 창구"라며 "앞으로 더 많은 기업과 시민의 참여를 유도하고 민관 협업 모델을 확장함으로써 국민이 실생활에서 체감할 수 있는 디지털 사회혁신 사례를 지속 확산하고, 민간의 기술 역량이 사회적 가치 실현에 효과적으로 기여할 수 있도록 협력 기반을 더욱 강화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이하은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