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3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팜 민 찐 베트남 총리는 전날 발표한 정부 지시를 통해 산업무역부에 인도·브라질·파키스탄·이집트 및 중동·아프리카·라틴아메리카·중앙아시아·동유럽 등지의 국가들과의 FTA 협상 개시와 조속한 타결을 지시했다.
베트남이 현재까지 체결한 양자·다자간 자유무역협정은 17건이다. 여기에는 포괄적·점진적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CPTPP),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과 한국·일본·유럽연합(EU) 등과의 FTA가 포함된다. 베트남은 미국과는 자유무역협정을 체결하지 않았다.
베트남은 이달 초 트럼프 행정부로부터 상호관세 46%를 부과받았다. 90일간의 유예조치로 오는 7월까지 유예된 상태지만, 높은 관세가 부과될 경우 '최대 수출 시장'인 미국에 대한 의존도와 외국 제조업체들의 대규모 투자에 기반한 베트남의 성장 모델은 큰 타격을 받을 수 밖에 없는 상황이다.
베트남 정부는 자국을 통한 중국산 상품의 우회 수출을 막기 위해 불법 환적 등 무역사기 단속 지시를 내렸다. 미국과의 관세 협상 개시 준비의 일환으로 미국 측의 '우려 사안' 해결에 나선 셈이다. 베트남 정부는 응우옌 디엔 홍 산업통상부 장관이 이끄는 관세협상대표단을 꾸렸다.
이 가운데 찐 총리가 인도·브라질·파키스탄·이집트 및 신흥지역 국가들과의 자유무역 협상 개시와 조속한 타결을 지시한 것은 '수출 중심의 경제' 베트남이 관세 리스크에 대비해 수출 다변화 전략을 마련하려는 움직임의 일환으로 풀이된다.
정부 부처와 지방 정부에 발송된 지시에서 찐 총리는 "강대국 간의 전략적 경쟁이 심화되고, 전 세계적으로 무역 전쟁이 확산되고 있으며, 세계 경제 전망이 악화되면서 베트남은 많은 어려움과 도전에 직면하고 있다"면서도 올해 베트남의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8% 달성이라는 기존 목표를 재확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