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대통령 집무실·국회 이전’ 추진 세종 부동산 시장 꿈틀…“섣부른 매수 삼가야”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428010016595

글자크기

닫기

전원준 기자

승인 : 2025. 04. 28. 14:46

세종 아파트값, 21일 기준 0.23%↑…4년 만에 최대 상승폭
세종 아파트 매물 6042건…연초 8156건 대비 26% 급감
대통령 집무실·국회 이전 기대감에 상승 거래·신고가 적잖아
"한정된 실수요…상승폭 한정적"
국회 세종의사당 부지 전경(
세종시 세종동 일대에 위치한 세종 국회의사당 부지 전경./연합뉴스
세종 부동산 시장이 들썩이고 있다. 여야가 조기 대선을 앞두고 대통령 집무실 이전 및 제2집무실 신설·국회의사당 이전 의지를 나란히 밝히면서다. 아파트값 오름폭은 약 4년 만에 가장 컸고, 상승 거래도 적지 않게 체결되고 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한정된 실수요 및 다주택자 규제로 인한 투자 수요 유입의 어려움 등의 이유를 들어 섣부른 매수를 삼가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28일 업계에 따르면 최근 여야가 일제히 세종 내 대통령 집무실 및 국회 이전을 공언하고 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는 "임기 내 대통령 집무실과 국회 본원을 세종으로 완전히 이전하겠다"고 강조했으며, 권영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 역시 "여의도 국회 시대를 끝내고, 세종 국회 시대를 열겠다"며 "세종에 대통령실 제2집무실을 건립하겠다"고도 했다.

이렇다 보니 세종 부동산 시장은 전국적인 침체 흐름과는 달리 다소 들썩이는 분위기다.

실제 한국부동산원의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을 보면, 세종 아파트값은 지난 14일 기준 0.04% 오르며 전주 대비 상승 전환한 이후, 21일에는 0.23% 오르며 4년 만의 최대 상승폭 기록했다.

아파트 매물도 줄고 있다. 부동산 플랫폼 아실에 따르면 이날 기준 세종 아파트 매물은 6042건으로, 연초(8156건) 대비 26% 급감했다. 같은 기간 전국 아파트 매물이 59만5247건에서 60만7401건으로 약 2% 증가한 것과는 배치된다.

상승 거래도 적지 않게 체결되고 있다. 어진동 중흥S클래스 센텀뷰(한뜰마을6단지) 아파트 전용면적 140㎡형은 지난 5일 15억4000만원(24층)에 손바뀜됐다. 지난 2월 22일 14억원(4층)에 팔린 것과 비교하면 약 40일 만에 1억4000만원 오른 것이다.

나성동 '한신더휴리저브'(나릿재6단지) 아파트 전용 84㎡형도 지난 19일 10억5000만원(43층)에 팔리며 신고가를 썼다. 지난 10일 이뤄진 직전 거래가(8억5000만원·15층)보다 2억원 비싸다.

세종시의 한 공인중개사무소 관계자는 "이전에도 대통령 집무실·국회 세종 이전 이슈는 있었지만, 최근 유력 대선 후보들이 잇달아 대통령 집무실·국회의 세종 이전 의지를 드러내고 있기 때문에 이번에야말로 이전이 이뤄지는 것이 아니냐는 주민들의 기대가 크다"고 했다.

하지만 부동산 전문가들은 대통령 집무실·국회 완전 이전 가능성이 낮다는 점, 실제 이전이 이뤄진다고 해도 수요층이 한정적이라는 점을 들어 급격한 가격 상승 가능성을 낮게 점치면서 섣부른 매수를 삼갈 것을 조언하고 있다.

김선주 경기대 부동산자산관리학과 교수는 "아무리 대통령 집무실과 국회가 세종으로 이전한다고 하더라도 대규모 일자리가 확보되지 않는 한 주택 가격 상승폭은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며 "특히 세종시 주택 수요층이 공무원으로 한정적인 데다, 다주택자 규제로 인해 투자 매력이 떨어지는 만큼 가격 상승세가 장기적으로 이어지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진단했다.

김인만 김인만부동산경제연구소 대표 역시 "대통령실 이전은 막연한 수도 이전에 대한 기대감과 달리 파급효과가 크지 않고, 오히려 대통령 집무실 인근 지역 고도제한 등 경호문제로 인해 불편함이 더 클 수도 있다"며 "이 같은 호재로 단기간 반짝 반등할 수는 있지만 2020~2021년처럼 과도한 폭등으로 이어지기는 어렵기 때문에 투자 목적으로 급하게 움직일 필요는 없다"고 지적했다.
전원준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