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 스페이스' 위해 민간기업 비중 확대 필요"
인력 부족에는 주요 사업 중심 구성으로 대응
11월 누리호 4차 발사…"올해 최대 사업"
|
이 원장은 29일 서울 종로구에서 진행된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원장 취임 100일 간담회'에서 "산업계에서 우주사업 확장의 의지를 가지고 투자를 전개하는 것이 '뉴 스페이스(민간 기업 주도 우주 개발 시대)'의 정의로, 산업체가 투자를 통해 이익을 창출하고 다시 투자하는 방식으로 규모를 늘려나가는 것이 그 본질"이라며 "우주경제의 발전을 위해서는 민간기업의 비중을 높여나갈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특히 이 원장은 정해진 법령 내에서 기술이전을 통한 연구기술 혁신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이 원장은 "최근 손재일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대표와 접점이 늘리며 차세대 발사체 개발을 위한 양측 간의 공감대를 형성했다"며 "차세대 발사체 개발과 관련된 지적 재산권 문제도 원만히 해결돼 빠른 시일 내로 기술을 이전하고 공동 개발 추진이 이뤄지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성공적으로 개발된 기술을 민간업체에 과감히 이전하고, 연구원들은 멀게는 50년 후에 필요한 미래 기술을 연구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 원장은 현안에 맞춘 조직 구성의 필요성도 전하며 장기적인 관점 아래 유연한 운영 방침을 제시했다. 이 원장은 "연구원 내 인력이 부족하다는 점이 계속 지적받고 있는 상황"이라며 "기획재정부에 성공적인 사업을 수행하고 세계적 추세를 따라가기 위해 충원이 필요하다는 점을 전했다"고 말했다.
이어 "(인력 부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또 다른 방식은 인력 구성을 바꾸는 것"이라며 "누리호, 차세대 발사체를 이어 현재 구상 중인 달 착륙선이나 행성간 이동 우주선 등 향후 과제 중심으로 인원을 이동시킬 수도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날 간담회에서는 항우연의 올해 주요 연구개발 계획과 진행 상황이 공유됐다. 올해 최대 사업으로 꼽히는 누리호 4차 발사는 주 탑재체인 중형위성의 임무궤도 진입에 적합한 시기인 오는 11월 새벽 1시로 예정됐다.
14년간 3조7235억원 규모의 가장 많은 예산이 책정된 한국형 위성항법시스템(KPS) 개발사업을 통해서는 20235년까지 한반도 인근 지역에 초정밀 위치·항법 정보 제공을 위한 시스템을 구축하겠다는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