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과기부, 통신 정비사업 2단계 착수…“거리 미관·안전 환경 개선”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429010017672

글자크기

닫기

서병주 기자

승인 : 2025. 04. 29. 16:59

주택가 등 유·무선 인프라 종합 정비 추진
환경친화 정비·재난 피해 예방 현장점검도
화면 캡처 2025-04-29 165708
유·무선 통신환경 정비 전·후 비교 사진./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2028년까지 전국 1만5000개의 무선국소를 정비, 안전한 통신 서비스 기반을 확충한다.

과기부는 '이동통신 무선국 환경친화 정비협의회'를 개최했다고 29일 밝혔다. 협의회에서는 무선국 환경친화 정비 성과 점검 및 중장기 추진방향을 논의한 후 정비현장을 방문헤 현장의 의견을 청취했다는 설명이다.

과기부는 2021년부터 이동통신 3사, 한국통신사업자연합회(KTOA) 등과 함께 이동통신 무선국 환경친화 정비사업을 추진해왔다. 사업은 깨끗하고 안전한 통신환경을 구축해 이용자들이 쾌적한 환경에서 통신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정비사업은 전주나 건물 옥상 등에 설치된 노후·위험, 난립 구조물 및 밀집 안테나, 유동 인구가 많은 무선국소 등에 대해 지역 및 환경 조화를 고려해 가림막 설치, 환경친화형 위장, 프레임 설치, 안테나 재배치 등을 중점 추진한다. 지난해 말까지 진행된 1단계 사업 추진 결과 7041개의 무선국소(약 9만4000개 무선국)를 정비해 당초 계획의 100%를 달성했다.

과기부는 올해부터 2028년까지 2단계 사업을 추진, 총 1만5000개의 무선국소를 추가 정비한다. 특히 2단계 사업은 환경친화 정비와 더불어 지진이나 집중호우, 풍수, 대설·한파 등 재난 피해 예방을 위한 실효적 현장점검 체계를 구축하고, 안전점검을 병행한다는 방침이다.

한편 이달 초 발표한 유선 인프라 정비사업은 올해 51개 자치단체를 대상으로 355개 정비구역의 전주 15만3673본(한전주 11만2653본, 통신주 4만1020본)에 대해 정비를 추진한다. 또 정비 효과 제고를 위해 인입설비 공용화 및 지향성압입(HDD) 공법 시범사업과 신축 건물 인입관로 사전협의 절차 마련 등 신기술과 신공법을 적용하기 위한 시도를 지속한다.

류제명 과기부 네트워크정책실장은 "유·무선 네트워크 인프라는 전파가 국민 생활 깊숙한 곳에서 편의를 제공하고, 안전·편리·혁신적 디지털 서비스에 널리 활용될 수 있는 기반으로써 중추적 역할을 했다"며 "과기부는 방송통신사업자들과 긴밀히 협력해 유·무선 통신환경 정비를 지속적으로 확대, 깨끗하고 안전한 통신환경을 조성하겠다"고 말했다.
서병주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