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상임 장관 "기술사업화로 위기 극복"
R&D 기술사업화 추진방향도 공개
기술분야별 맞춤형 지원체계 구축
|
30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교육부, 식품의약품안전처 등 관계부처는 서울 포시즌스 호텔에서 '국가 기술사업화 비전 선포식'을 합동 개최했다. 국가 기술사업화는 정부 주도 하에 연구개발된 기술을 실제 사업에 활용, 수익을 창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유상임 과기부 장관은 비전 선포식 개회사를 통해 "급변하는 통상환경, 저성장 등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연구성과가 산업 현장으로 이어지는 건강한 기술사업화 생태계 조성이 중요하다"며 "비전 선포식을 계기로 기술이 산업으로 연결되는 구조적 기반 마련, 범부처 협업을 통한 기술사업화 전주기 지원체계 구축과 기술창업·이전 기업의 성장 전주기 지원 등 주요 추진과제를 속도감 있게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도 모두발언에서 "대학 안에서도 기술사업화 종합전문회사가 자유롭게 성장할 수 있도록 규제는 과감히 개선하고, 라이즈(RISE) 체계 안에서 지역 특화산업 성장을 견인할 다양한 기술사업화 혁신모델이 창출될 수 있도록 아낌없이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이날 '국가 R&D 기술사업화 추진방향'도 공개됐다. 추진방향에는 △공공기술의 사업화 촉진 △기술창업 및 기업성장 지원 △국가 기술사업화 플랫폼 혁신 등 세 가지 내용을 담았다.
먼저 '공공기술의 사업화 촉진'의 일환으로는, 정부 출연 연구기관을 기술사업화의 거점으로 육성하는 방안이 제시됐다. 이를 위해 정부는 기술사업화와 관련된 인사나 평가 등 인센티브를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기술창업 및 기업성장 지원'을 위해서는 공공기술 기반 창업지원을 확대한다. 이를 위해 전주기 실험실 창업지원 체계를 확립하는 한편, 창업유망기술을 보유한 혁신창업실험실을 지원할 예정이다. 동시에 기술사업화 종합전문회사 육성을 통해 대학이나 출연연이 창출한 기술을 창업으로 연계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한다. 이 과정에서 정부는 창업보육과 후속투자까지 공공기술 전주기 사업화를 지원한다.
'국가 기술사업화 플랫폼 혁신'을 실현하기 위해 민관합동 협의체를 구성, 부처 및 민관 협업을 논의하는 등 범부처간 정책연계를 강화한다. 동시에 분야별 특성을 반영한 맞춤형 지원체계를 구축한다는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