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北에 미국이 먼저 선의 보여야, 中 주장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508010003307

글자크기

닫기

홍순도 베이징 특파원

승인 : 2025. 05. 08. 18:03

겅솽 주유엔 부대표 강조
유엔 안보리 北 관련 회의 발언
제재로만 일관하면 곤란
아시아투데이 홍순도 베이징 특파원 = 중국이 미국을 필두로 하는 국제 사회가 북한에 대해 제재로 일관할 것이 아니라 대화 재개를 위한 우호적 분위기 조성에 힘써야 한다는 기존의 입장을 다시 한번 강조했다.

clip20250508180055
겅솽 중국 주유엔 부대표. 7일 미국이 북한에 제재로만 일관해서는 안 된다는 자국 입장을 피력했다./신화통신.
관영 신화(新華)통신의 8일 보도에 따르면 겅솽(耿爽) 중국 주유엔 부대표는 전날 미국 뉴욕 유엔본부에서 열린 북한 비확산 의제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회의 발언을 통해 "최근 관련 당사국이 대화와 접촉을 둘러싸고 일부 긍정적 신호를 발신했다"면서 "중국은 당사국들이 기회를 잘 잡고 상호 신뢰를 만들어 한반도 문제가 조기에 대화의 궤도로 돌아오도록 함께 추동하기를 호소한다"고 말했다. 이어 "이 방면에서 미국은 응당 먼저 선의를 보여야 한다. "(모종의) 조치를 취해 대화의 태도를 행동으로도 옮기는 데 힘써야 한다"고 덧붙였다.

겅 부대표는 또 "중국은 일관되게 제재는 수단이지 목적이 아니라는 사실을 주장해왔다. 처음부터 끝까지 정치적 해결 프로세스를 위한 것이어야 한다고 주장해왔다"고 강조한 후 "안보리가 통과시킨 대북 결의에는 제재도 포함되지만 정치적 해결과 인도주의적 측면의 부정적 영향 감소 등 내용도 포함된다. 어느 것을 선택적으로 집행할 수는 없다"는 입장도 피력했다.

그러면서 "최근 미국은 한반도 문제를 이용해 '인도·태평양 전략'을 추진하고 군사 동맹과 확장 억제 강화를 통해 진영 대결과 신냉전을 만들려고 한다"고 주장한 다음 "이는 반도 문제의 정치적 해결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 뿐만 아니라 중국 등 지역 국가의 안보 이익을 심각하게 훼손하고 더 심각한 안보 딜레마를 불러일으킬 뿐"이라고 강조했다.

유엔 안보리는 전날 북한 관련 공식 회의를 열고 북러 군사 협력 등 안보리 대북 제재 위반이 지속되고 있는 상황에 대해 논의했다. 이에 한국 측 대표는 북한이 안보리 결의를 위반하면서 불법 활동을 가속화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또 우크라이나전 북한군 파병을 고리로 러시아의 지원으로 재래식 전력 강화까지 추진하면서 새로운 안보 위협 국면을 초래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에 반해 러시아와 북한 대표는 양국의 군사 협력이 조약에 따라 국제법을 준수해 이뤄진 것이라고 주장하면서 한반도 긴장 고조의 책임을 한미 등 서방에 돌렸다. 겅 부대표 발언의 뉘앙스로 볼 때 중국 역시 비슷한 입장을 피력했다고 할 수 있을 듯하다.
홍순도 베이징 특파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