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한 "실패한 전례, 새 묘수 찾아야"
당 쇄신 맡을 '혁신위' 금주 윤곽
"두달짜리 무용지물" 내부 비판도
|
정치권에선 8월 전당대회를 앞두고 지도체제 개편 과정에서 계파 갈등이 심화할 것이라는 관측이 제기된다.
정치권에 따르면 송 원내대표는 취임 일성으로 당의 쇄신을 이끌겠다고 공언했다. 송 원내대표는 당내 계파 갈등을 의식해 전당대회 전까지 당 사무를 '관리형 비대위'로 운영하겠다고도 했다.
그럼에도 지도부를 바라보는 시선은 여전히 따갑다. 새 대표가 선출되면 혁신위원회는 사실상 무용지물이 된다며 부정적인 반응을 내비치고 있어서다.
전당대회를 앞두고 제기된 지도체제 개편도 갈등의 씨앗이 되고 있다. 친윤계 등 당내 중진을 중심으로 '집단지도체제' 전환에 무게를 두는 가운데, 친한(친한동훈)계는 여전히 부정적인 입장을 드러내고 있기 때문이다.
집단지도체제는 당 대표와 최고위원 선거를 함께 치러 최다 득표자가 대표최고위원, 차순위 득표자들이 최고위원이 되는 방식을 의미한다. 친윤계 입장에서는 대표를 뺏기더라도, 최고위원들을 통해 지도부를 견제할 수 있다.
친한계 관계자는 "집단지도체제는 당의 현실과 부합하지 않는다"며 "과거 김무성 지도체제 시절 이미 실패한 전례가 있다. (원내지도부가) 행정부와 의회권력을 분산시킬 수 있는 또 다른 묘수를 찾아야 한다"고 말했다.
또 다른 친한계 관계자도 "집단지도체제는 현시점에서 아무 도움이 되지 않는다"며 "당시 김무성 지도부가 집권여당이었음에도 실패한 체제"라고 했다.
앞서 2014년 7월 국민의힘 전신인 새누리당 전당대회에서 김무성 대표와 서청원 최고위원이 이끄는 집단지도체제가 출범한 바 있다. 당시 친박(친박근혜)·비박(비박근혜) 연합 지도부는 갈등을 봉합하지 못한 채 '봉숭아학당'이라는 비판을 받았다.
집단지도체제로 바꾸자는 내부 주장은 당의 동력을 막고 있다는 반론에 부딪히며 당장은 사그라지는 분위기다. 당 지도부는 향후 혁신위를 구성해 집단지도체제의 장단점을 파악한 이후 공론화할 전망이다.
송 원내대표가 당 쇄신 방안으로 제시한 혁신위는 이르면 이번 주 윤곽이 드러날 것으로 예상된다. 송 원내대표는 기자들과 만나 관련 논란에 대해 "현시점에서 (집단지도체제가) 바람직하냐에 대해 (내부에서) 제기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