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원전 기업인’ 전면 배치… 재생·원전 에너지믹스 기대감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702010000811

글자크기

닫기

장예림 기자

승인 : 2025. 07. 01. 17:59

두산에너빌 김정관 산업 장관 발탁
'감원전' 기조서 '원전 활용 확대' 변화
업계 "예단 이르지만 원전과 조화 기대"
이재명 대통령이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후보에 원전 대표 민간기업의 사장을 지명하면서 대선 당시 '감원전'을 시사했던 정책 방향에 변화가 있을 것이란 해석이 나온다.

1일 업계는 산업부 장·차관에 원전에 우호적인 전문가가 전면에 배치된 것이 정부의 에너지 정책에서 원전의 역할을 중요하게 보고 있다는 시그널로 평가하고 있다.

이 대통령이 산업부 장관으로 지명한 김정관 두산에너빌리티 사장과 산업부 2차관에 지명된 이호현 산업부 에너지정책실장은 말 그대로 민간과 정부에서 원전을 포함한 국내 에너지 산업에 대한 경험이 풍부한 인물들이다.

특히 현직 민간기업 최고위직 인사를 산업부 장관 후보자로 지명한 것은 이례적이라는 평가다. 인사청문회를 통과한다면 원전 기업이 산업부 장관을 배출하는 것도 최초 사례가 된다. 업계에서는 재생에너지와 원전의 합리적인 에너지 믹스가 강화될 것이라는 기대감이 커지는 이유다.

이번 지명을 두고 업계에서는 현 정부가 지난 문재인 정부 시절과 달리 '탈원전'을 하지 않겠다는 뜻을 확실히 했다는 의미로 받아들이는 모습이다. 특히 이 대통령이 지난 대선 시절 사실상 시사해왔던 '감원전' 기조에도 변화가 생긴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실제 업계에서는 이번 인선에 대해 '감원전'에서 '원전 활용 확대'로 중심축이 움직인 것이 아니냐는 평가도 조심스럽게 나오고 있다.

앞서 이 대통령은 "신규 원전은 건설하지 않고 가동 중 원전은 유지하되 수명 연장은 하지 않는다"는 입장을 밝히며, 태양광·해상풍력 등 재생에너지 중심으로 에너지 전환을 이끌겠다는 공약을 낸 바 있다. 이는 현재 국정기획위원회가 꾸리고 있는 정부의 주요 정책과도 일맥상통하는 부분이다.

국정위는 기후위기 대응이라는 대전제 하에 기후에너지부 신설과 △재생에너지 확대 등을 통한 인공지능(AI) 및 제조업 전력수요 충족 △에너지 고속도로 △분산형 에너지체계 △전통산업 탈탄소 전환 △노후산단 스마트화 등 5개 주요 과제를 정했다. '재생에너지 확대 방침'은 최근 현 정부의 첫 추가경정예산이자 올해 두 번째 추경에서 잘 나타난다. 산업부가 편성한 추경안을 보면 신재생에너지 관련 사업에 총 1118억원이 배정됐다. 반면 원전 산업 분야는 편성된 예산이 없다. 이에 업계에서는 체코 원전 등 해외 수출로 성장 기회를 얻은 원전산업이 다시 발목을 잡히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적지 않았다.

업계 관계자는 "현직 원전 기업 임원이 산업정책 수장으로 지명된 것은 상징성이 크다고 본다"며 "아직 예단하기는 이르겠지만, 재생에너지 비중만을 확대하는 형태의 에너지 정책 보다는 원전과의 조화롭고 합리적인 믹스를 고려할 것으로 예상한다. 또한 산업진흥을 통한 경제성장 역시 기대되는 바"라고 설명했다.

한편 김 장관 후보자가 있던 두산에너빌리티는 국내에서 원전 1차측 계통에 해당하는 원자로·증기발생기·터빈 등 주기기를 만드는 유일한 기업으로, 원전 산업을 이끌어왔다. 국내 원전을 비롯한 우리나라 최초 원전 수출 사례인 '아랍에미리트(UAE) 바라카 원전 프로젝트'에도 참여했다. 올해 6월에는 한국수력원자력을 필두로 한 팀코리아에 속해 '체코 두코바니 신규 원전 건설 사업'을 최종 수주하기도 했다. 이 사업은 총 26조원 규모로, 원전의 본고장격인 유럽에 진출하는 첫 사례다.
장예림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