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회 재난안전정책포럼의 주최, 산림청 주관으로 열린 이번 토론회는 지난 3월 경북에서 발생한 초대형 산불 피해 지역의 2차 피해를 예방하는 산림재난 안전 정책의 실질적인 대안 마련을 위해 마련됐다.
송 원내대표는 축사에서 "산불 진화 이후 3개월이 지난 지금도 피해 지역 곳곳에선 여전히 깊은 상처가 남아있으며, 주민들께서는 산사태와 토사 유출, 하천 범람 등 2차 피해에 대한 불안과 위협을 안고 계신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산불 피해는 단순한 산림 훼손을 넘어 국민의 생명과 재산에 직접적인 위협이 되는 중대한 재난"이라며 "국회는 대형 재난으로부터 국민을 보호하고, 안타까운 피해가 재발하지 않도록 관련 법과 제도를 선제적으로 정비해 나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아울러 "국민의힘은 지난 3월 산불 발생 직후 '산불재난대응특별위원회'를 구성하여 「경북·경남·울산 초대형산불 피해 구제 및 지원 등을 위한 특별법」을 발의하는 등 초대형 산불 피해 복구와 지역 주민 지원, 피해 지역 재건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재난재해가 있을 때 언제든지 먼저 뛰어가서 국민 안전을 챙길 수 있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
정 의원은 "산림청에서는 10월 15일까지 산사태 조심 기간으로 지정하고 대응에 나서고 있지만, 정부 차원의 대응 역량 강화가 보다 더 중요해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지난해 자신이 대표 발의한 '산림재난방지법안' 제정안을 소개하며 "산불-산사태-산림병해충 등 산림재난에 대한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대응이 현장에서 작동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법적 토대가 될 것"이라며 "오늘 토론회를 통해 산불 2차 피해 예방을 위한 구체적인 대책과 함께, 산림재난방지법안의 현장 적응력을 높일 수 있는 후속 보완 방안도 폭넓게 논의되기를 기대한다"고 전했다.
이날 토론회에서는 안영상 전남대학교 산림자원학과 교수가 '산불 2차 피해 예방을 위한 통합관리 방안'을 주제로 발제를 맡았으며, 산림재난 관련 석학들과 현장 실무자들이 토론에 참여하여 2차 피해 예방을 위한 실효적인 대책 마련 방안을 고민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