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철 호우 대비 및 먹는 물 안전 관리 철저
|
김민석 국무총리는 이날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제1회 국정현안관계장관회의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의 '환경부의 집중호우·폭염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이날 회의는 범정부적으로 전국적으로 기록적인 무더위과 기습호우 등 이상기후가 지속되며 국민 불편이 가중되는 가운데, 여름철 재난 대응체계와 민생경제 상황을 종합 점검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환경부는 먼저 하천 위험감시를 위해 AI를 활용한 신속한 홍수예보 체계를 구축하고, 하천변 사람·차량을 자동 인식하는 지능형 CCTV를 활용하여 위험 상황을 모니터링하고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또한, 홍수취약지구 지정·관리, 빗물받이 등 하수도 시설 점검 등 취약지역을 미리 파악해 관리한다. 특히, 도시침수의 원인이 되는 빗물받이 막힘을 방지하기 위해 6월까지 의무관리대상인 중점관리구역 내 빗물받이 95.1%에 대해 점검·청소를 완료하였고, 지자체의 빗물받이 관리 강화를 위해 제도 개선 등을 병행 추진할 계획이다.
이외에도 녹조 대응을 위해 오염원을 철저히 관리하고, 댐·보 연계 방류, 취·정수장 관리 강화를 통해 안전한 먹는 물을 공급한다.
환경부는 야적퇴비, 개인하수시설에 대한 특별점검을 6월까지 완료했다고 밝혔다.
아울러 폭염에 녹조 발생 우려가 커지는 만큼 비점오염저감시설 및 가축분뇨 바이오가스화시설을 지속 확충해 녹조 발생을 사전 예방한다. 또한 정수장 점검 및 모의훈련 실시, 취수원 주변 조류 차단막 설치 등을 통해 안전한 먹는 물 공급에 총력을 다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