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 후보자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모두발언을 통해 "북극항로라는 새 바닷길이 전 세계 경제활동 변혁의 추동력이 될 것으로 생각해 왔다"면서 이같이 강조했다.
그러면서 "북극항로를 통해 현재의 수도권 일극화 체제를 극복하고 행정, 산업, 사법, 금융기능을 집적화시켜 대한민국의 새로운 성장엔진을 장착하겠다"고 부연했다.
전 후보자는 "그 첫 단추로 해수부의 부산 이전을 차질없이 완수하고, 이를 마중물로 삼아 해양수산 관련 기관을 비롯해 주요 해운기업까지 유치하겠다"면서 "또한 UN해양총회를 우리나라에서 유치해 북극항로를 선도하는 우리의 의지를 널리 알리는 등 대한민국의 위상을 높이겠다"고 말했다.
전 후보자는 또 지속가능한 수산업으로의 혁신도 강조했다. 그는 "기후변화는 해운물류 뿐만 아니라 수산업에도 많은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면서 "연근해어업은 총허용 어획량 관리체계로 전환시키고, 양식업은 스마트 혁신으로 생산성을 높이는 정책을 더욱 속도감 있게 추진하겠다"고 언급했다. 이어 "국민들께 신선한 수산물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수산물 수급관리에도 집중하겠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전 후보자는 해운항만 경쟁력을 강화해 K-해양강국 건설에 힘쓰겠다고 밝혔다. 전 후보자는 "점차 가시화되는 국제사회의 친환경 규제는 우리의 해운·항만산업에 큰 도전으로 다가오고 있다"면서 "글로벌 환경규제의 위기를 기회로 삼아 친환경 선박 중심으로 국적 선대를 개편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그는 또 "암모니아, 수소 등 무탄소 선박과한국형 완전자율운항선박 등에 대해서도 신속한 기술개발을 통해 미래형 선박 시장을 빠르게 선점하겠다"며 "부산항은 스마트 자동화 기술이 접목된 진해신항 개발로 거점항만의 지위를 공고히 하고, 전국 항만들도 권역별 맞춤형 발전전략에 따라 차질없이 조성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어촌 소멸 위기에 대응에 대해서는 "해양치유·낚시·생태관광 등 지역 특성에 맞는 인프라를 갖춰 어촌을 기회의 땅으로 만들겠다"는 계획도 내놨다. 해상풍력과 관련해서는 "수용성과 환경성을 고려해 이익공유 모델을 마련하고, 에너지 대전환의 계기로 삼겠다"고 설명했다.
끝으로 전 후보자는 "해양주권을 수호하고 청정한 바다 조성에 한층 더 앞장서겠다"면서 "독도, 영해기점도서, 무인도 등의 해양영토 관리를 보다 굳건히 하고,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지킬 수 있도록 해양안전관리에 빈틈이 없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해양영토를 굳건히 지키고, 해양보호구역을 확장해 청정 해양 환경을 조성하겠다"며 "국회와의 소통을 강화하고 해양수산 현장의 목소리를 귀담아 듣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