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자원공사는 14일 대전 본사 세종관에서 전사경영회의를 열고 'AI First 전략기획단'이 제시한 AI 전환 전략과 추진 방향을 발표했다. 회의에는 윤석대 사장 등 임원과 전국 부서장 약 160명이 참석했다.
AI 전환 전략은 먹는물 관리부터 홍수·가뭄 등 물재해 대응까지 국민 생활과 직결된 물 분야에 AI를 적용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데이터 허브와 클라우드 기반 스마트 업무환경을 2027년까지 구축해, 생성형 AI 서비스를 물 분야 의사결정 전반에 확대할 계획이다.
실시간 수질 예측, AI 기반 누수 탐지, 정수장 운영 자동화, 수요 예측형 산업용수 공급 등도 단계적으로 도입한다. 수자원공사는 다보스포럼에서 인정받은 AI 정수장 기술을 글로벌 표준으로 확산시켜 첨단 물 산업 시장을 선도할 방침이다. 해외 사업에도 AI 모델을 적용해, 물관리 컨설팅도 확대할 계획이다.
에너지 고속도로 정책에도 적극 대응한다. 수열, 수력 등 물에너지로 산업계의 RE100 달성을 지원한다. 주민 참여형 수상태양광 모델 확대와 임하댐 수상태양광 집적화단지 완공 등 청정에너지 인프라 구축도 강화한다. 코엑스, 현대 GBC 등 한강 변 중심상업지구에는 수열에너지 보급을 추진해 저소비 구조로의 전환을 촉진한다.
윤석대 사장은 "AI와 재생에너지 중심으로 세계질서가 재편되는 시대에 전략 선점이 중요하다"며 "물-AI-재생에너지 결합 미래 인프라로 정부 목표 달성과 글로벌 시장 선도를 이루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