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車 키도 스마트하게…LG이노텍, 차세대 디지털키 시장 정조준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716010009449

글자크기

닫기

김영진 기자

승인 : 2025. 07. 16. 16:25

BLE·UWB 기술 결합
고정밀 3D 측위 알고리즘 탑재
2030년까지 차량통신 사업 연매출 1.5조원 목표
[사진1] LG이노텍 차세대 디지털키 솔루션 '아동 감지(CPD)' 기능 시연
LG이노텍 차세대 디지털키 솔루션 '아동 감지(CPD)' 기능 시연./LG이노텍
LG이노텍이 자율주행과 커넥티드카 시대를 겨냥한 '차세대 디지털키 솔루션'을 앞세워 차량통신 부품 시장 공략에 나선다. 독자 개발한 고정밀 3D 측위 알고리즘과 UWB(초광대역) 기반 레이더 기술을 무기로, 오는 2030년까지 차량통신(Connectivity·커넥티비티) 사업을 연매출 1조5000억원 규모로 성장시키겠다는 목표다.

LG이노텍은 15일 서울 강서구 마곡 본사에서 기술 설명회를 열고 '차세대 디지털키 솔루션'을 공개했다. 유병국 전장부품사업부장(전무)은 "차량 공유 산업 확대와 커넥티드카 시장 성장에 발맞춰, 디지털키 사업을 LG이노텍의 핵심 성장축으로 키워가겠다"고 강조했다.

디지털키는 스마트폰을 이용해 차량의 문을 열고 시동을 걸 수 있는 차세대 키다. 실물 키를 휴대하지 않아도 되고 스마트폰이 없으면 시동이 불가능해 보안성도 높다. 디지털키 시장은 2025년 6000억원에서 2030년 3조3000억 규모로 5배 이상 성장이 예측되는 미래 모빌리티 핵심 영역이기도 하다. LG이노텍은 2017년부터 디지털키 기술을 개발해 2019년 시제품을 내놓았고 올해부터 본격적인 양산과 수주 확대에 나섰다.

이번에 선보인 솔루션은 BLE(저전력 블루투스)와 UWB 기술을 결합한 형태로 AI 기반 고정밀 3D 측위 알고리즘을 탑재했다. 이를 통해 스마트폰 위치를 10cm 이내 오차로 탐지하며 오작동이나 해킹 위험을 크게 줄였다. 특히 차량 앞쪽으로 접근해야만 프론트 도어가 열리는 방식으로 오작동을 방지한다.

남형기 커넥티비티 개발실장은 "차량 모델별 구조에 최적화된 측위 알고리즘을 AI로 학습·튜닝해 정확도를 30% 이상 높였다"며 "레이더를 활용한 CPD(아동 감지) 등 안전 기능도 함께 구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사진4] LG이노텍 '차세대 디지털키 솔루션 기술 설명회' QnA
지난 15일 서울 강서구 LG이노텍 마곡 본사에서 개최된 '차세대 디지털키 솔루션 기술 설명회'에서 김홍필 커넥티비티 사업담당(상무)와 김형근 전장마케팅담당, 남형기 커넥티비티 개발실장이 질의응답을 하고 있다./LG이노텍
실제 시연에서는 레이더가 뒷좌석에 앉은 아이의 미세한 움직임을 포착해 운전자 스마트폰으로 경고를 보냈다. 이 기능은 유럽의 자동차 안전 평가 기준(Euro NCAP)에 부합하며 차량 내 유아 방치 사고를 방지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 침입 감지, 트렁크 킥센서 대체, 자율주차 정밀 위치 측정 등 다양한 부가기능으로의 확장도 가능하다.

LG이노텍의 디지털키는 BLE, UWB 모듈과 안테나, 레이더 등 약 60여개 부품과 소프트웨어가 집약된 일체형 모듈로 업계 최소 수준의 명함 크기의 소형 설계를 자랑한다. iOS와 안드로이드를 모두 지원하며 글로벌 표준화 단체 CCC(Car Connectivity Consortium)의 최신 규격을 충족한다.

김홍필 커넥티비티사업담당(상무)은 "지난해 국내외 14개 차종에 탑재 수주를 완료했고 올해도 북미와 유럽 OEM과의 협업 확대를 통해 수주를 늘릴 것"이라며 "디지털키 외에도 5G-V2X, 차량용 AP 모듈을 포함한 커넥티비티 전체 매출을 2030년까지 1억5000억원 규모로 끌어올리겠다"고 밝혔다.

특히 LG이노텍은 향후 디지털키 기술을 LG전자의 스마트홈 플랫폼인 'LG 씽큐(ThinQ)'와 연계해 가전 영역으로 확장하는 방안도 추진 중이다. 남형기 실장은 "UWB 레이더 기술은 차량뿐 아니라 가전 제품에도 적용할 수 있는 범용성이 높다"며 "씽큐 플랫폼과의 연동을 통해 차량과 가전을 아우르는 통합 사용자 경험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LG이노텍은 디지털키 3.0 시대도 준비 중이다. UWB 기반 레이더로 침입 감지, 키 영역 세분화, 자율 주차 지원 등의 기능을 구현하고 있으며 2027년~2028년 양산을 목표로 글로벌 완성차 업체들과 협업을 확대하고 있다.

[사진5] LG이노텍 '차세대 디지털키 솔루션'
LG이노텍 '차세대 디지털키 솔루션'./LG이노텍
김영진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