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11월 3회 공연으로 가곡·오페라·뮤지컬 아우르는 무대
|
이번 마티네 콘서트는 황수미에게 특별한 도전이다. 기존에 연주자로서만 활동했던 그가 처음으로 기획부터 호스트까지 맡았기 때문이다. 그는 16일 서울 송파구 롯데콘서트홀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처음에는 호스트로서 사회만 보면 되는 줄 알았는데, 기획과 연주도 함께 해달라고 해서 더 큰 도전이 됐다"고 털어놓았다.
황수미의 마티네 콘서트는 9월 18일, 10월 16일, 11월 20일 총 3회에 걸쳐 진행된다. 각각 가곡, 오페라, 시네마를 테마로 한 프로그램으로 구성된다.
9월 가곡 프로그램에서는 테너 김우경, 피아니스트 안종도와 함께 로베르트 슈만과 클라라 슈만의 작품을 중심으로 무대를 선보인다. 10월 오페라 프로그램에서는 모차르트의 '코지 판 투테'를 콘서트 오페라 형태로 소프라노 이한나, 메조소프라노 정세라, 테너 김효종, 바리톤 이동환, 베이스 김대영과 함께 선보인다. 11월 시네마 프로그램에서는 뮤지컬 배우 카이(정기열), 음악감독 이성준과 함께 영화 속 오페라송과 뮤지컬 넘버를 들려준다.
황수미는 마티네 콘서트의 장점으로 "인터미션이 없는 짧은 공연"과 "접근성이 높은 인프라"를 꼽았다. 프로그램 기획 시에는 "아침에 공연장을 방문하는 입문자들을 고려해 너무 심오하거나 어려운 곡은 피했다"며 관객층을 배려한 선곡 배경을 설명했다.
|
실제로 그는 독일과 유럽에서 아시아인이라는 이유로 많이 제안받았던 나비부인, 초초상 등의 배역을 거절했다. 이에 관해 황수미는 "단기간으로 보면 스타가 될 수 있는 기회였지만, 건강한 좋은 소리로 오래 공연하고 싶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학부 시절 뮤지컬 도전을 고민했던 황수미는 뮤지컬 '대장금' 오디션에서 떨어진 경험을 솔직하게 털어놓았다. 그는 "오디션 분위기가 성악과 많이 달라서 기세에 눌렸고, 연기 연습을 하지 않은 상태에서 대사가 어색해 떨어질 요소가 많았다"고 회상했다.
현재 뮤지컬 재도전 가능성에 대해서는 "아직 성악에서도 배워야 할 레퍼토리가 많다"며 "뮤지컬 전공자들이 바닥부터 수련하는 것을 보면 섣불리 도전하는 것은 경솔하다"고 신중한 입장을 밝혔다.
마티네 콘서트 이후 황수미는 대전시향과 베토벤 합창 교향곡 공연, 내년 2월 도쿄에서 말러 천인교향곡 협연 등의 일정이 예정돼 있다. 황수미는 "어디서 제 목소리가 쓰이고 흘러나가든지 영향력이 있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으로 성실하게 준비하고 있다"며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