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충민 서울시농구협회장과 간담회
|
시의회 문체위는 김 위원장이 지난 13일 서울시농구협회와 간담회를 갖고 비인기 종목으로 전락하고 있는 농구계의 현실과 문제점에 관한 의견을 청취했다고 17일 밝혔다.
현재 농구는 1군 중심의 폐쇄적 프로 리그 운영 방식 탓에 프로 진입에 실패한 선수들이 농구를 계속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이로 인한 인력 유출이 리그 전체를 떠받칠 선수층을 없애 한국 농구 전체의 경쟁력 저하로 이어졌다는 지적이다. 유소년 농구 클럽 또한 프로 리그 중심의 소수 엘리트 시스템에만 집중돼 생활체육 기반이 취약해지고 인프라가 붕괴되며 성장이 제한되는 문제를 겪고 있다.
이충민 서울시농구협회장은 김 위원장과의 면담에서 이와 같은 한계를 극복할 해법으로 실업팀을 도입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실업팀은 프로 진출이 어려운 선수들에게 제2의 진로를 제공할 수 있으며, 지역 커뮤니티와 연결돼 농구 저변 확대에 기여할 수 있다는 것이다.
실업팀의 성공적인 작동을 위해서는 공공의 정책적·제도적 지원 필요성이 제기된다. 지방자치단체가 실업팀 창단 및 운영에 필요한 재정적 지원을 확대함과 동시에 전용 경기장 및 훈련장 확충, 지도자 육성 프로그램 개발, 대회 유치 등 인프라 개선이 병행돼야 한다는 설명이다.
김 위원장은 "농구계는 '프로만 존재하는 리그'에서 '모두가 함께 만드는 생태계'로 전환해야 한다"며 "농구가 다시 살아나기 위해서는 유소년부터 성인까지 농구를 계속할 수 있는 기회가 많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