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위군 관통도로 건설, 군사시설 제한지역 해소도 병행돼야
|
박 의원은 18일 열린 시정질문에서 "TK신공항 사업이 사업 방식 혼선과 재정 조달의 불확실성 속에서 표류하고 있다"며 "2023년 민관 합작 SPC(특수목적법인) 방식에서 2024년 공영개발 방식으로 변경됐지만, 명확한 재원 대책이 마련되지 않아 시민 혼란만 가중됐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이제는 논의를 넘어 실제 착공을 위한 실행 단계로 전환해야 한다"며 TK신공항 사업의 조속한 추진을 촉구했다.
TK신공항은 지역경제 활성화, 항공기 소음 해소, 고도제한 해제로 인한 재산권 회복 등 다양한 효과가 기대되는 대형 국책사업이다. 하지만 11조 5393억 원에 달하는 공자기금 확보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서, 대구시가 제시한 '2026년 착공, 2030년 개항'이라는 로드맵의 현실성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박 의원은 "대구와 경북이 뼈를 깎는 자구노력을 통해 자체 재원을 조달하고, 동시에 정부의 책임 있는 재정지원을 이끌어내야 한다"며 "대구시가 사업시행자로서 보다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그는 TK신공항 연계 기반시설과 관련된 현안도 짚었다. 군위군 관통도로의 국도 승격 무산에 따른 대책과, 군사시설 이전에 따른 개발행위허가 제한지역 지정으로 인한 주민 피해에 대한 실질적 해결 방안을 마련할 것을 주문했다.
특히 박 의원은 "군위군 관통도로는 대구·군위 생활권 통합의 상징이자 TK신공항 연계 교통망의 핵심"이라며 "2020년 체결된 공동합의문 이행 차원에서도 개항 전까지 반드시 완공돼야 한다"고 말했다.
마지막으로 그는 "시장 공백이라는 엄중한 시기에도 핵심 사업 추진이 멈춰선 안 된다"며 "이제는 대구시가 전략적 결단과 강력한 실행력으로 TK신공항 착공을 이끌어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