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美관세 시름 현대차, 불법파업에 임단협까지 ‘첩첩산중’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721010011489

글자크기

닫기

김아련 기자

승인 : 2025. 07. 20. 18:12

관세·감세법 등 순익감소 우려
노사 22일 11차 막판 교섭 진행
여름휴가 전 조기타결 기대감도
현대차그룹이 밖으로는 미국의 25% 고율 관세와 전기차 세액 공제 종료, 안으로는 노조 불법파업과 난항인 임단협까지 겹악재로 시름하고 있다.

20일 업계에 따르면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14일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을 만난 시점은 안팎의 파고가 절정을 이루던 때다. 정 회장은 글로벌 통상환경과 대미투자, 지방 활성화 방안을 비롯해 미래 대응 계획 등 다양한 분야에 대한 의견과 애로사항을 전했을 거란 관측이 나온다. 실제로 20일 미국을 처음 공식 방문한 한미의원연맹도 현대차·기아 공장이 위치한 조지아주를 찾아 브라이언 켐프 주지사와 주의원들을 직접 방문할 것으로 전해졌다.

현대차 노사는 현대차 울산공장 여름휴가를 앞두고 오는 22일 11차 막판 교섭을 진행할 계획이다. 노사가 아직까지 임단협 합의점을 찾지 못하고 있는 상태이지만, 11차 교섭에서 극적으로 잠정 합의안을 마련할 가능성도 있다. 지난해처럼 여름휴가 전에 임단협을 마무리할 것이란 기대감도 나온다.

현대차 노사는 앞서 6년 연속으로 무파업 타결을 이어갔다. 노조는 올해 기본급 14만1300원 인상(호봉승급분 제외), 전년 순이익의 30% 성과급 지급, 상여금 900% 지급 등을 요구하고 있다. 이는 지난해 기본급 11만2000원 인상(호봉승급분 포함), 상여금 750% 수준을 넘어서는 규모다.

이에 현대차는 교섭 과정에서 미국의 수입산 자동차 25% 관세 부과 등을 언급하며 현실을 직시하자고 강조한 바 있다. 특히 올해는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여파와 감세법 등으로 인해 하반기부터 순익 감소가 우려된다.

한국경제인협회가 발표한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규모 감세법의 자동차·배터리 산업 영향 및 시사점' 보고서에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핵심 국정과제를 반영한 '하나의 크고 아름다운 법안'(OBBBA·대규모 감세법) 발효에 따라 전기차 세액 공제가 종료 시 현대차그룹의 미국 시장 전기차 판매량은 연간 최대 4만5828대 감소할 수 있다고 추정했다. 매출은 19억5508만 달러, 한화로 약 2조7200억원 규모다.

이러한 시점에 현대차 아산공장에서는 품질 검사 공정을 둘러싸고 노사 갈등이 발생했다. 전국금속노동조합 현대자동차지부 아산공장위원회 소속의 주행검사 담당 노동자 40여 명이 지난 18일 오후부터 생산 라인을 중단한 것이다. 쏘나타, 그랜저, 아이오닉6 등 하루 1000여 대의 차량을 생산하던 라인이 멈추면서 생산 차질이 불가피하게 됐다. 다만 현대차 측에선 "임단협과 연관돼 파업이 발생한 것은 아니다"라며 "노조 측과 협의해 이른 시일 내 해결할 것"이라 설명했다.

전문가들은 미국의 상호관세 부과가 25%로 유지된다면 자동차 업계의 수익 악화는 현실화될 것이라 내다봤다. 이호근 대덕대학교 미래자동차학과 교수는 "관세가 그대로 유지되면 현대차그룹에서는 20% 정도 실적 감소가 예상된다"고 설명했다. 이어 "노조와의 임금 협상은 전년도 최대 실적을 바탕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현대차 입장에서는 요구를 아예 무시할 수는 없을 것"이라면서도 "관세에 대한 실적 악화 우려 때문에 대미투자를 상당히 늘려놓은 상황에서 하반기 이후 매출 감소 등이 나타나면 전반적으로 어려움을 극복하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 내다봤다.
김아련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