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진석 민주당 원내운영수석부대표는 21일 KBS라디오 '전격시사'에 출연해 이번 이진숙 후보자 지명 철회가 이전 정부와 다른 인선 과정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평가했다. 문 수석부대표는 이번 인선이 "야당의 의견을 일부 수용한 것"이라며 "대통령께서 여야 원내대표를 만나 의견을 경청하는 과정을 거쳤다. 이런 모습을 보여준 대통령은 없었다"고 강조했다.
반면 강선우 후보자 임명 강행에 대해서는 대통령이 책임을 지고 가는 결단이라고 설명했다. 문 수석은 "대통령께서 국민에게 양해를 구한 모습"이라며 "본인이 '책임지고 잘 이끌어가겠다' 이런 취지로 보여져 존중돼야 한다"고 말했다. 야당의 반발에 대해서는 "1명을 지명 철회한 것은 야당 얘기도 일부 수용한 것"이라며 "이제 몽니를 부릴 것이 아니라 대승적 차원에서 대통령의 임명권을 존중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언주 최고위원은 강 후보자의 업무 능력과 의혹에 대한 해명을 임명 수용의 근거로 들었다. 이 최고위원은 같은 날 MBC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에서 "업무 수행 능력을 평가한 것 아니겠는가"라며 "비난받는 부분들에 대해서는 본인이 업무를 더 열심히 수행해서 국민적 여론을 극복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강 후보자 본인의 노력을 통해 논란을 정면 돌파해야 한다는 주문도 덧붙였다. 다만 전직 보좌진 추가 폭로 가능성으로 인한 여파에 대해서는 "지켜봐야한다"면서도 "지금까지 나온 폭로들이 사실관계 등 논란이 있는 부분들은 좀 있기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김현정 원내대변인은 YTN라디오 '뉴스파이팅'에서 "당사자가 인사청문회를 통해 해명을 했고 관련 여론조사나 여론 추이, 그리고 여야의 원내대표들의 의견도 대통령이 수렴 한 후 최종 결단을 한 것"이라며 "인사권자의 인사권을 존중 해 달라"고 당부했다. 아울러 김 원내대변인은 강선우 의원의 경우 '갑질 의혹' 자체에 대한 반론을 제시했다. 그는 "갑질은 아무래도 좀 상대적이고 주관적인 측면이 있다"고 말했다. "최근에는 전현직 보좌진의 반대된 진술도 많이 나왔다고 한다"며 "그런데 그런 것들은 제대로 언론에서 다뤄지지 않았다. 이런 것까지 종합적으로 판단해서 결정하신 것 같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