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 중심 해법 및 혁신 업무 결합 강조
"韓 발전 과실 국민에 돌아가야" 당부
|
구 부총리는 이날 오전 세종시 정부세종청사 중앙동에서 열린 취임식에서 '부총리와 함께 하는 혁신 첫걸음-기재부가 달라졌어요'를 주제로 강연을 열고, 이같은 내용이 담긴 기재부의 혁신을 위한 5가지 방안을 제시했다. 이번 취임식은 취임사 대신 강연 및 직원들과의 대화를 통해 직원들과 앞으로의 변화 방향을 함께 논의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구 부총리는 먼저 기재부 직원들을 향해 '주식회사 대한민국의 핵심사원'이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기재부 직원들이 주식회사 대한민국의 주주인 국민에 대한 친절한 봉사자가 돼야 한다는 것이다. 국민주권정부의 주인인 국민이 원하는 것을 어떻게 도와줄 것인지 생각하고, 이를 통해 국민에게 신뢰받는 기재부가 돼야 한다고 했다.
또 기재부가 '다른 부처의 파트너'가 돼야 한다고 당부했다. 앞에서 다른 부처를 이끌어나가는 역할을 하기보다 도와주고 밀어주는 부처가 돼야 한다고 언급하며, 관계 부처와의 협력과 융합, 지원을 강조했다. 특히 '현장에서 해법'을 찾을 것을 당부했다. '현장 중심 문제 해결사'가 돼 항상 현장의 어려움을 살피고 모든 사고를 현장 중심으로 전환해야 한다는 취지다.
아울러 '똑똑한 일터'를 만들자고 강조했다. 대면보고·대면회의 등 불필요한 형식을 최소화하고, 직급에 상관없이 누구나 부총리에게 새로운 아이디어를 직접 자유롭게 보고할 수 있는 문화를 만들며, 인공지능(AI) 기술 등을 활용해 업무의 생산성을 제고해야 한다고 언급했다. 이를 통해 우리나라의 발전 및 발전의 과실이 국민들에게 돌아갈 수 있도록 열심히 일하는 기재부가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구 부총리는 직원들의 질의에 응답하며 직원들과 자유로운 대화 시간을 가졌다. 직원들은 기획재정부에서 일하면서 가장 보람있던 일, 업무에 임하는 자세, 공직생활의 다짐 등 다양한 질문을 하였으며, 민간에 뒤처지지 않고 성과를 내는 혁신 노하우 등 강연내용과 관련된 질문 및 실국에 관계없이 업무 아이디어를 공유할 수 있는 소통플랫폼, 단순 반복적인 업무의 AI기술을 활용한 자동화 등 혁신 아이디어도 적극적으로 제시했다.
구 부총리는 "오늘 나온 아이디어를 정리해, 실현 가능한 것부터 즉시 시행하겠다. 혁신은 현장에서 시작되는 것"이라며 "앞으로도 이런 소통 기회를 통해 직원들과 함께 만들어가는 새로운 기재부가 되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