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 장관은 21일 오전 첫 출근길에서 기자들과 만나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며 "지금 다른 협상에 직접 관여해 온 부처 장관들이 간다는 얘기도 있다"고 했다.
조 장관은 특히 "외교부가 좀더 거시적인 시각으로 패키지딜 등을 살펴보고 의견도 제시하고, 미측과 함께 윈윈의 방향을 찾아내야 할 것"이라며 "관세협상을 흔히 제로섬으로만 생각하지만 협상을 해본 경험에 비춰보면 항상 논제로섬의 윈윈 방안이 나온다"고 강조했다.
한국과 일본의 과거사 문제와 관련해선 "오랜 기간 시도를 해왔는데 일본 사회에 관한 이해를 해야 한다"며 "왜 일본 사회가 어떻게 오늘날 이르렀는가를 잘 이해한다면 과거사 문제를 우리가 소망, 압박 만으론 안 된다는 걸 알 수 있다"고 했다.
또한 "좀 더 긴 호흡을 갖고 끈기와 인내심을 갖고 해나가되 한일관계를 미래지향적 관계로 발전시키는 게 큰 어려움으로 작동하지 않고 선순환 구조를 만드는 데 걸림돌로 작동하지 않도록 노력해야 된다"고 말했다.
조 장관은 '최우선 외교 과제'에 대해선 "당장 여러 어려움들이 몰려오고 있다. 우선순위를 어떻게 두느냐는 건 정해진 게 없다"면서 "상황을 봐가면서 우선순위를 둬서 해결해야 될 것도 있고 장기적으로 긴 호흡으로 가야 할 것도 있다"고 말했다.
이어 "그러나 분명한 건 당장은 어떤 어려움 있더라도 낙관적으로 생각한다"며 "그간 우리 역사를 봐도 가까이 있는 우리 국민들의 현명한 선택과 용기를 봐도, 우리가 국민의 힘을 뒷배로 삼아서 현명한 외교를 해나간다면 분명히 잘할 수 있을 것으로 믿는다"고 했다.
조 장관은 아울러 이날 미국·일본·중국 등 주요국 장관과의 전화통화도 할 것으로 보인다고 밝히기도 했다.
조 장관은 외교부 1·2차관을 역임한 바 있으며 3년 만에 장관으로 임명돼 외교부에 복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