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산자물가지수 119.77…전월 比 0.1%↑
|
22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5년 6월 생산자물가지수(잠정)'에 따르면, 6월 생산자물가지수는 119.77(2020년 100 기준)로, 전월보다 0.1% 상승했다. 4월부터 이어진 하락세가 3개월 만에 뒤집혔다. 전년 동월 대비로는 0.5% 상승해 전월(0.3%)보다 오름폭이 확대됐다.
세부적으로 보면 농림수산품이 전월 대비 0.6% 올랐다. 축산물(2.4%)과 농산물(1.5%) 모두 상승했다. 특히 돼지고기(9.5%), 달걀(4.4%)이 크게 뛰었고, 쌀(3.4%)과 배추(31.1%)도 올랐다. 수산물은 물오징어(-36.3%), 고등어(-27.6%) 등을 중심으로 4.9% 하락했다.
공산품은 전월과 같았지만 품목별 흐름은 엇갈렸다. 석탄·석유제품은 휘발유(2.8%)와 경유(2.5%)를 중심으로 1.2% 상승했다. 반면 컴퓨터·전자 및 광학기기는 0.6% 하락했다. 반도체(-1.0%)와 OLED(-3.0%) 등의 약세가 이어졌다.
전력·가스·수도 및 폐기물 부문은 산업용 도시가스(-2.4%) 하락 영향으로 0.1% 내렸다. 서비스 부문은 금융·보험서비스(2.5%)와 부동산서비스(0.2%) 등이 오르며 전체적으로 0.3% 상승했다. 음식점 및 숙박 서비스는 보합세(0%)를 기록했다.
특수분류 기준으로 보면 식료품은 전월보다 0.4% 상승했고, 에너지는 0.2% 올랐다. 반면 신선식품은 1.4% 하락했다. 식료품 및 에너지를 제외한 근원 생산자물가지수는 0.1% 상승해 전월의 하락세를 멈췄다.
국내 출하와 수입을 모두 반영한 국내공급물가지수는 원재료(-4.1%), 중간재(-0.3%), 최종재(-0.1%) 모두 하락하면서 전월 대비 0.6% 떨어졌다. 전년 동월 대비로는 1.6% 하락하며 낙폭이 커졌다.
수출까지 포함한 총산출물가지수는 공산품 수출 1.6% 하락 등으로 전월보다 0.3% 내렸다. 전년 동월 대비로는 0.6% 하락했다. 서비스 가격은 전월보다 0.2% 올랐지만 전체 지수 하락을 상쇄하진 못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