빈틈없는 기후재난 안전망 구축
전 국민 체감하는 쾌적한 환경 약속
|
김 장관은 이날 오전 취임사에서 "모든 문제는 현장에 답이 있다"며 "앞으로 모든 기후·환경정책은 현장에서 직접 보고, 듣고, 소통하면서현장에서 해결의 실마리를 찾고 완성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김 장관은 "화석연료 기반의 탄소 문명에서 벗어나 재생에너지 중심의 탈탄소 녹색 문명으로의 대전환이 매우 절박한 시점"이라며 "미래는 탈탄소 산업 경쟁력이 곧 국가 경쟁력인 시대가 될 것"이라고 언급했다. 그러면서 "대한민국이 탈탄소 녹색 문명의 중심 국가로 도약하는데 환경부가 선도적 역할을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김 장관은 "우리나라는 203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2018년 대비 40% 감축해야 할 의무가 있지만 쉽지 않은 목표"라며 "전환, 산업, 수송, 건물 등 전 부문에서 지금까지와는 다른 의지와 노력으로 탈탄소 전환에 총력을 다해야 한다"고 제시했다.
이어 "기후 위기 대응을 위한 체질 개선 노력을 녹색산업 육성과 지역발전의 기회로 삼아야 한다"며 "전기차, 배터리, 히트펌프, 재생에너지 등 탈탄소 산업의 육성은 새로운 일자리 창출과 국내 기업의 수출 경쟁력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언급했다.
그러면서 "특히, 태양광, 풍력, 바이오가스 등 지역 특성에 맞는 재생에너지를 대폭 확대하고, 이익을 지역주민과 공유하면 지역 활력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 장관은 "2035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와 2050 장기 감축경로는 미래세대의 삶을 좌우하는 중요한 과제"라며 "목표는 국제사회에서 대한민국의 위상을 높이고, 국내 산업의 실질적 탈탄소 경쟁력을 높일 수 있도록 도전적이면서 합리적이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빈틈없는 기후재난 안전망을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장관은 "기상 여건이 과거와는 크게 달라져 기후재해 대응시스템을 전반적으로 점검하고 필요한 부분은 근본적으로 바꿔나가야 한다"며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는 일은 국가의 가장 기본적인 책무이고, 한 치의 소홀함이 있어서는 안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 장관은 "지속 가능한 순환 경제를 실현해야 한다"며 "전 국민이 체감하는 쾌적한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구체적으로 "미세먼지, 유해화학물질, 녹조 등 국민 생활과 밀접한 공간의 환경위험요인도 촘촘히 관리해서 누구도 소외되지 않고 기본 환경권을 보장 받도록 해야 한다"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