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탄소 문명' '선도' '전환' 등 강조
"탄소 의존하지 않는 새로운 산업군 키울 것"
|
김 장관은 22일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환경부 출입기자단과 만나 "국정위 안에서는 환경부에 에너지 파트인 산업부 2차관실을 붙여서 가칭 '기후환경에너지부'로 바꾸는 안과, 환경부의 기후 정책실 파트와 산업부의 2차관실을 합해서 기후에너지부를 별도 신설하는 안 두 가지만 있었다"고 말했다.
앞서 김정관 산업부 장관이 기후에너지부 신설과 관련한 우려를 표한 가운데, 국무위원 간에 이견이 있는 것 아니냐는 질의에 대해 이같은 답변을 내놨다. 김 장관은 "다만 산업부 장관으로 새로 오는 입장에서 보면 기존 직원들의 여러 정서 등을 살폈을 때 그렇게 말할 수도 있겠구나 정도로 이해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김 장관은 조직 개편 방향을 두고 "아직 확정적으로 말할 수 없지만, 대통령께 가급적 빠른 시일 내에 정부 방침을 확정해달라고 요청할 예정"이라며 "정부조직법 개정에도 시간이 걸리겠지만 그래야 정부 내 불안정성을 해결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
김 장관은 '탈탄소 문명 전환'을 가장 시급한 과제로 꼽았다. 김 장관은 "전력, 산업, 수송, 건물, 농업, 기타 이 영역에서 대한민국의 온실가스 배출량이 최고치가 7억3000만톤이었고, 지금 6억5000만톤 정도인데 오는 2030년까지 4억3000만톤으로 줄여야 하는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핵심은 석탄, 석유와 액화천연가스(LNG) 등과 같은 화석 연료를 원천적으로 줄여야 하는 것"이라며 "직접 쓰는 화석 연료 뿐만 아니라, 타고 다니는 자동차, 철강석과 시멘트를 생산할 때 쓰는 석탄 등을 포함해 모든 것을 다 줄여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내연차를 2030년까지 450만대 통계로 치면, 대략 신차의 30%를 전기차로 바꾸기로 계획을 세웠는데, 지금 전 국민적으로 하면 3%에 그치는 상황"이라며 "현재는 전기차 보급을 담당하는 환경부 직원들마저도 일반 국민 평균 수준을 넘어가지 못 하는 말의 향연"이라고 지적했다. 김 장관은 "세상을 바꾸려면 그 당사자부터 절박해야 한다"며 "저부터 시작하는 일"이라고 강조했다.
김 장관은 환경부가 규제 부처가 아님을 이날 취임사에 이어 재차 밝혔다. 김 장관은 "새로운 탈탄소 녹색 문명 사회로 가는 일종의 안내 혹은 선도 부서여야 할 것"이라며 "새로운 산업과 문명 체제로 전환하려면 그 시대에 맞는 새로운 산업을 키우고 발전시키고 거기서 파이를 또 키워야 한다"고 말했다. 구체적으로 "태양광, 풍력, 히트 펌프, 전기차 배터리, 그와 관련된 우리 각종 전력 산업들, 그 외에 그러니까 탄소에 의존하지 않는 새로운 산업군, 일자리를 키워야 한다"고 역설했다.
김 장관은 "최근에 독일의 자동차 산업과 일본의 자동차 산업이 생각보다 어렵다. 전기차나 수소차로의 전환이 생각보다 더뎠기 때문"이라며 "우리도 내연기관차를 좀 더 오래 붙들고 있다면 반드시 그런 문제가 생길 것"이라고 우려를 표했다. 그러면서 "규제가 아닌 전환, 탈탄소 시대 문명에 맞는 지원과 보조를 (환경부 역할로) 봐야 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