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3일 둔포농협에 따르면 조합장과 직원 3명, 배 공선출하회 회원 등 20여명은 지난 17일부터 21일까지 4박 5일 일정으로 중국 광저우와 천저우로 해외연수를 다녀왔다.
둔포농협 예산 약 2500만원이 지원됐으며, 농협 직원은 자부담 없이 전액 지원, 회원들은 30%를 자부담했다.
선진지 견학을 명분으로 내세웠으나, 정작 일정 대부분은 관광지 견학으로 짜여졌다. 연수일정 확인 결과 배 과수농가 방문과 대형마트 청과코너 방문 등 약 3시간을 제외하고, 나머지는 후난성 천저우 비천산 구룡수채와 비천산뗏목, 망산 소동강 풍경구 케이블카와 두솔동굴·유람선 견학 일정으로 채워졌다.
가장 큰 문제는 시기다. 지난 16일 오후부터 아산 등 충청권에 쏟아진 극한호우로 재난문자가 연이어 발송되는 등 비 피해가 충분히 예상됐음에도 불구하고 해외연수를 강행한 것이다.
이들은 17일 오전 4시 30분 둔포농협 서부지점에서 출발해 4시간 후쯤 인천공항에서 출국했는데, 비슷한 시간 아산 지역 누적 강우량은 평균 315㎜를 기록했다. 둔포 지역에만 276㎜의 비가 쏟아졌다. 둔포천 등 3개 하천은 범람 위험 수준에 이르렀고, 둔포리 마을 주민 일부도 대피하던 상황이었다.
연수 기간인 지난 20일에는 강호동 농협중앙회장이 직접 아산을 찾았다. 강 회장은 아산을 비롯한 예산 등 지역 농가를 방문해 현장에서 피해상황을 점검했다. 특히 범농협 차원에서 전사적 임직원 일손돕기 실시 등 피해 농업인의 일상 회복을 빠르게 지원하겠다고도 했다.
반면 출국 당일 해외연수 취소 또는 조합장의 중도 귀국 시도는 없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둔포농협 측은 석 달 전 이미 계획된 일정인 데다 이처럼 많은 비가 내릴 것을 예측하지 못했다고 해명했다.
둔포농협 관계자는 "연수 중간 조합장에게 연락해 피해 상황 등을 보고했다"며 "침수 피해는 있었지만 도복(벼 쓰러짐) 피해는 크지 않았다. 지난 20일부터 항공방제 등 피해 예방에 주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편 지난 17일 오전 9시 기준 아산지역 벼 재배면적 8245㏊ 가운데 약 860㏊가 침수됐던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 둔포지역 침수 면적은 약 60㏊로 조사됐다. 과수농가 피해 규모는 현재 파악 중으로, 폭우와 고온다습한 날씨로 인한 탄저병 등 병해 확산 우려가 높은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