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나는 독립군의 딸입니다” 의령 출신 독립운동가 구여순 지사 후손들의 특별한 나들이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728010015940

글자크기

닫기

의령 오성환 기자

승인 : 2025. 07. 28. 11:59

군, 구여순 지사 유족 건국훈장 전수식 개최
93세 맏딸 "아버지, 동정금 보내온 의령 사람 잊지 못해"
오 군수 신년사 구여순 언급 계기·의병박물관 구여순 주제관 설치
5. 구여순 지사
구여순 지사의 생전모습. /의령군
"나는 독립군의 딸입니다. 사람들은 아버지를 '사라진 사람', '위험한 사람'이라 불렀고, 우리는 그 이름을 입 밖에 내는 것이 두려웠습니다. 이제는 독립운동가 구여순 이름을 당당히 부를 수 있기에 오늘 아버지의 훈장을 가슴에 품고 마침내 고향으로 돌아왔습니다."

독립운동가 구여순 지사의 장녀 구철희씨(93)가 경남 의령 군민께 보내는 '나는 독립군의 딸입니다" 편지 내용중 일부다.
3. 왼쪽 오태완 의령군수, 오른쪽 구철희 여사
오태완 의령군수가 故 구여순 지사의 유족인 장녀 구철희씨(오른쪽)에게 건국훈장 애국장을 전수하고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의령군
28일 의령군에 따르면 지난 18일 의령 출신 독립운동가 일정(一丁) 구여순(1896~1946)지사의 맏딸을 포함한 14명의 후손이 의병박물관을 방문했다.

구철희씨가 생전에 고향 의령에서 군수로부터 '아버지 건국훈장'을 받고 싶다는 뜻을 밝히면서 특별한 나들이가 성사됐다.

이날 오태완 군수는 의병박물관 제2전시관에서 독립운동가 구여순 지사의 유족에게 건국훈장 애국장을 전수했다. 정부가 1990년 구여순에 추서한 건국훈장 애국장이 분실된 이후 재신청을 통해 올해 교부됐고 유족들은 훈장을 고향에 기부하기로 했다.

장녀 구 씨는 "아버지는 대구형무소에 갇혀 있을 때 의령 군민들이 동정금을 모아 전달해 준것을 항상 고맙게 생각하셨다"며 "서울과 중국에서 독립운동할 때도 늘 고향을 그리워하셨다"고 말했다.

7.구철희 여사가 쓴 '나는 독립군의 딸입니다' 편지글을 막내딸 류인정 씨가 낭독하고 있다
구여순 지사의 장녀 구철희씨가 쓴 '나는 독립군의 딸입니다' 편지글을 막내딸 류인정 씨가 낭독하고 있다. /의령군
그는 의령 군민에게 들려주고 싶다며 A4용지 두 장 분량의 '나는 독립군의 딸입니다' 편지글을 직접 써왔고 이날 막내딸 류인정 씨가 대독하는 걸 들으며 연신 눈물을 훔쳤다.

구 씨가 노구를 이끌고 의령을 방문한 데는 오 군수의 영향이 컸다고 한다. 한사코 의령군수에게 건국훈장을 받겠다는 유족들에게는 나름의 이유가 있었다.

먼저 오 군수는 지난해 신년사에서 "100년 전 1924년 2월, 경성지방법원에서 재판받은 의령 출신 독립운동가 구여순 선생은 '독립사상을 지금도 품고 있느냐'는 일제 검사의 신문에 '지금이라도 조선 독립이 된다면 다른 것은 물론이고 생명까지 바칠 용의가 있다'는 말을 언급하며 의령군민에게는 100년 전부터 '용기'가 자라나 있었다. 용기와 헌신으로 더 살가 좋은 의령을 만들겠다"고 말한 바 있다. 이는 유족들에게 힘을 주었다.

2. 18일 구여순 유족 14명이 의병박물관을 방문했다.
의령군을 방문한 구여순 지사의 후손들이 오태완 군수와 의병박물관에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의령군
또 지난해 11월 문을 연 의병박물관 제2전시관에 설치된 '구여순 주제관'도 유족들을 설레게 했다. 의병박물관 제2전시관은 항일 의병과 독립운동 인물까지 집중 조명할 수 있는 공간으로 조성됐다.

오 군수 "구여순 선생은 또 하나의 역사이자 의령 사람의 긍지"라며 "경남에서 항일 의지를 이야기할 때 의령을 빼놓으면 안 된다. 의령군청에서 의병탑 방향으로 뻗은 '충익로'에 군민 3000여 명이 '대한독립만세'를 외쳤고 그 중심에 구여순 애국지사가 있었다"고 말했다.

구여순 지사는 1919년 3·1운동 당시 의령지역 만세운동을 주도해 징역 2년형을 선고받고 복역했다. 출옥 후 중국으로 망명해 의열단에 가입, 무장 항일투쟁에 참여했다. 이후 고려구국동지회를 조직해 항일운동을 이어갔고 광복을 맞아 김구 선생과 더불어 신탁통치 반대와 친일파 청산을 위해 애쓰다가 고문 후유증으로 사망했다.

오성환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