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 의원은 이날 "2020년 아주대병원과의 협약은 법적 구속력이 없는 단순 MOU였다"며 "병원 공모 시 우선권이나 가점이 부여되는 구조도 아니었다"고 지적했다.
고 의원에 따르면 그간 파주시는 시민들에게 마치 종합병원이 유치된 것처럼 홍보해 왔다. 실제로 △2023년 11월 현장 간담회 △2024년 4월 미국 마이애미·보스턴 바이오산업 시찰 △12월 '2025년 병원 확정'이라는 시장의 공식 보도까지 이어지며 병원 유치는 거의 확정된 듯 시민들에게 인식됐다.
고 의원은 "지금도 많은 시민들은 아주대병원이 들어오는 줄 알고 있다"며 "시민의 오해를 방치한 채 침묵으로 일관하는 파주시의 행정은 무책임을 넘어 신뢰 파괴"라고 지적했다.
공공의료 없이 공동주택만 늘어나는 개발 구조에 대한 파주시민들의 불신도 커지고 있다. PMC 내 공동주택 세대 수는 3398세대에서 4160세대로 늘었고, 그에 따라 초등학교 부지까지 변경되면서 부지 인근 주민들의 항의도 연일 이어지고 있다.
고 의원은 "지금 상황은 단순한 일정 지연이 아니라, 공공성을 상실한 개발 사업으로의 전락"이라며 "시민은 병원을 기다렸지만 행정은 아파트만 앞세웠다"고 비판했다.
고 의원은 현재의 의료 공백을 최소하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했다. 우선 그는 경기도 공공병원인 파주병원의 의료 질을 획기적으로 높여야 한다고 밝혔다. 진료과 확대, 필수의료 인력 충원, 응급 대응 체계 보강 등을 통해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의료 서비스를 실현하겠다는 계획이다.
또한 고양시 주요 대학병원과 협약을 맺어 진료 연계, 응급 후송, 순환진료 등 광역 협진 체계를 구축해 시민들의 의료 접근성을 보완하겠다는 게 고 의원의 두 번째 구상이다. 여기에 중장기적으로는 경기도 공공병원을 기반으로 수도권 대학병원이 위탁 운영하는 방식의 '공공병원 기반 대학병원형 종합병원'을 파주에 유치하겠다는 비전을 제시했다. 이는 공공성과 전문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는 실현 가능한 해법이라고 강조했다.
고 의원은 "올해까지 병원을 확정짓겠다는 약속은 어디로 갔는지, 파주시는 시민 앞에 당장 설명해야 한다"며 "병원 유치 전략, 공모 일정, 협의 대상 의료기관까지 모두 투명하게 공개 할 것"을 강력히 요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