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고건축·콘텐츠·도시계획 등 전문가 18명으로 구성·복원 방향 구체화 예정
|
시는 28일 전라감영 선화당에서 역사·고건축·콘텐츠·도시계획 등 분야별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제2기 전라감영 전체복원·전주부성 역사 재창조위원회'의 위촉식 및 첫 번째 전체위원회를 개최했다.
이에 따라 전주 구도심에 산재한 조선시대 역사 문화를 되살리고 관광자원화를 추진하려는 전주시의 계획이 탄력을 받게 됐다.
전라감영은 조선왕조 500년 동안 호남의 정치와 경제, 문화를 아우르는 통치기관으로 사업비 104억원이 투입돼 복원 1단계로 선화당과 내아, 관풍각 등 동편 복원이 완료됐다. 또, 전주부성의 경우 조선시대 성곽의 기초 부분이 북서편(옥토주차장)과 북동편(한국전통문화전당)에서 발굴조사를 통해 확인됐다.
이날 출범한 전라감영·전주부성 위원회는 역사, 고고학, 고건축, 콘텐츠, 토목·도시계획 전문가들을 비롯해 시의원, 행정 관계자 등 총 18명으로 구성됐다.
전라감영·전주부성 위원회는 향후 2년 동안 분기별 전체 회의와 월별 실무회의를 통해 전라감영 및 전주부성 복원사업 수행을 위한 객관성을 확보하고,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로부터 진정성을 갖춘 복원 방향을 정립해 나가게 된다.
이와 관련 이번 첫 회의에서 참석한 위원들은 선화당을 비롯한 6개 건물이 복원된 동편 부지에 대한 전통단청에 대해 논의했으며, 향후 서편 부지의 복원 계획과 남편 부지의 복원 방향 및 활용 방안에 대해 중점적으로 논의했다.
위원회는 또 풍남문을 비롯한 전주부성과 전라감영, 풍패지관을 연결해 조선역사문화를 기반으로 한 구도심 활성화에 박차를 가할 예정이다.
시는 발굴 조사를 통해 확인된 북서편(옥토주차장)과 북동편(한국전통문화전당)에 대해서는 향후 부지 매입 작업을 통해 성곽 복원사업에 나설 계획이다. 이 과정에서 전라감영·전주부성 위원회에서 나온 의견들을 바탕으로 복원사업을 시행해 역사문화도시 전주의 기반을 강화해 나갈 방침이다.
노은영 문화체육관광국장은 "전라감영 전체 복원과 전주부성 복원은 전주의 천년을 잇는 또 다른 천년의 시작"이며 "단순한 건물 복원이 아닌 전주의 정신과 역사를 복원해 그 가치를 후대에 전하도록 전문가들과 함께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