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산업계 협력으로 상용화 추진
|
한수원은 지난 28일부터 이틀간 광주 라마다플라자 호텔에서 관련 기관 및 전문가들과 함께 '원전 탄력운전 기술개발 사업 착수회의'를 열었다고 29일 밝혔다.
'원전 탄력운전'은 전력 수요의 변동에 따라 원자력발전소의 출력을 신속하게 조절함으로써 수급 균형을 맞추는 기술이다. 회의에는 한국원자력연료, 한국전력기술, 두산에너빌리티, 한국원자력연구원 등 원전 관련 기관과 학계 전문가 등 80여명이 참석해 기술의 중요성과 개발 방향을 논의했다.
이번 사업은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주도로 오는 2028년까지 추진되며, APR(Advanced Power Reactor) 원전의 노심·계통 설계, 안전 해석, 운전지원 시스템 구축 등 핵심 기술을 개발하는 것이 목표다.
한수원은 사업 총괄 주관기관으로서 실증 기술 개발은 물론, 향후 발전소 실증, 인허가 및 상용화를 위한 전략 수립까지 전 과정에 참여한다.
신호철 한수원 중앙연구원장은 "정부 기관, 산업계와의 긴밀한 협력을 바탕으로 사업을 성공적으로 완수하겠다"며 "원전 탄력운전 기술이 상용화되면 국내 전력 수급 안정화에 크게 이바지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