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분기 미 경제 성장률 3.0% ↑, 1분기 -0.5%서 반등...트럼프 “금리 지금 내려야”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730010017877

글자크기

닫기

하만주 워싱턴 특파원

승인 : 2025. 07. 30. 23:19

2분기 미 경제 성장률 3.0% ↑, 잠재성장률·전문가 전망치 크게 상회
상반기 미 경제 1.2% ↑
트럼프, 기준금리 결정 회의 주관 파월 연준 의장에 "금리, 지금 내려야"
미 GDP 성장 추이
2024년 1분기부터 2025년 2분기까지 미국의 국내총생산(GDP) 증가율 추이./미국 상무부 경제분석국(BEA) 자료 캡처
아시아투데이 하만주 워싱턴 특파원 기자 = 올해 1분기(1~3월) -0.5%로 역성장했던 미국 경제가 2분기(4~6월)에 3.0%(전기 대비 연율)로 성장세를 회복한 것으로 나타났다.

2분기 미국의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속보치)이 3.0%로 집계됐다고 미국 상무부가 30일(현지시간) 밝혔다.

이는 2% 초반대로 추정되는 잠재성장률을 크게 웃돌고, 다우존스가 집계한 전문가 전망치 2.3% 도 크게 상회하는 수치다.

◇ 2분기 미 경제 성장률 3.0% 성장, 1분기 -0.5%서 반등...잠재성장률·전문가 전망치 크게 상회
상반기 미 경제 1.2% 성장, 전년도 4분기 2.5%서 감속...관세·소비 심리 위축·외국인 노동자 추방 영향

이에 트럼프 대통령은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제롬 파월 의장에게 기준금리 인하를 거듭 촉구했다.

1분기 미국 경제는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고율 관세 부과를 앞두고 일시적인 수입 확대 여파로 3년 만에 0.5% 역성장했었다.

역으로 2분기 성장세 회복은 관세 부과를 앞두고 나타났던 일시적인 재고 확보 요인이 줄면서 수입이 급감한 게 주된 배경이 됐다.

2분기 미 경제 분야별 성장 기여율
2025년 2분기 소비자 지출·투자·정부 지출·수출·수입 등 부문별 미국 국내총생산(GDP) 증가율 기여도./미국 상무부 경제분석국(BEA) 자료 캡처
수출에서 수입을 뺀 순수출이 성장률을 4.99포인트 견인했는데, 기업의 재고 투자는 과다하게 쌓여있던 재고가 줄어들면서 3.17포인트 마이너스 요인으로 작용했다.

미국 국내총생산(GDP)의 약 70%를 차지하는 소비자 지출은 2분기에 안정적인 노동 시장이 가계의 소비력을 뒷받침하면서 1분기 0.5% 증가에서 1.4% 증가로 크게 늘었지만, 1분기 10.3% 증가에서 1.9%로 둔화한 기업의 설비 투자 급감으로 상쇄됐다고 WSJ은 분석했다.

주택 투자도 -4.6%로 역성장했는데, 고금리가 지속하면서 1분기 -1.3%에서 마이너스 폭이 확대됐다.

상반기(1~6월) 미국 경제는 연율 1.2% 성장했지만, 전년도 4분기 2.5%에서 상장률이 둔화했다. 이는 올해 경제가 예고됐다가 부과를 반복한 관세 정책, 소비 심리 급락 및 부분적인 회복, 불법 이민 외국인 노동자 추방 등으로 어려움을 겪으면서 나온 결과라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평가했다.

미국은 한국과 달리 직전 분기 대비 성장률(계절조정)을 연간 성장률로 환산해서 GDP 통계를 발표한다.

트럼프 금리인하 촉구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30일(현지시간) 소셜미디어(SNS) 트루스소셜을 봉해 예상보다 높은 3%의 2분기 미국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발표됐다며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제롬 파월 의장에게 기준금리 인하를 촉구하고 있다./트럼프 대통령 트루스소셜 캡처
◇ 트럼프, 기준금리 결정 회의 주관 파월 연준 의장에 "금리, 지금 내려야"

트럼프 대통령은 소셜미디어(SNS) 트루스소셜에 올린 글에서 "2분기 GDP가 막 나왔다"며 "3%는 예상보다 훨씬 좋은 것"이라고 썼다.

이어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기준금리를 결정하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를 주관할 파월 의장을 '너무 늦는 사람(Too Late)'이라고 지칭하면서 "금리를 지금 내려야 한다"고 촉구하면서 인플레이션이 없으니 사람들이 융자를 받고 집을 사는 등 소비를 할 수 있게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연준은 트럼프 대통령 취임 이후 연 4차례 FOMC에서 잇달아 기준금리를 동결(4.25∼4.5%)했고, 트럼프 대통령은 파월 의장에게 금리 인하를 압박해 왔다.

연준은 이날 오후 2시(한국시간 31일 오전 3시) 기준금리를 비롯한 이틀간의 FOMC 회의 결과를 발표한다.
하만주 워싱턴 특파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