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과 크메르타임스 등에 따르면 순짠돌 캄보디아 부총리는 지난 1일 기자들과 만나 트럼프 대통령의 평화 중재 노력에 감사를 표하며 "국가 간의 우호를 증진한 공로로 노벨평화상 후보로 지명될 자격이 있다"고 밝혔다. 파키스탄과 이스라엘에 이어 캄보디아까지 트럼프 대통령을 노벨 평화상 후보로 지지하고 나선 것이다.
로이터는 캄보디아의 이 같은 발표의 배경에는 교착 상태에 빠졌던 양국의 휴전 협상을 극적으로 타결시킨 트럼프 대통령의 '거래 외교'가 있었다고 보도했다.
통신이 양국 관계자를 인용해 재구성한 20시간의 긴박했던 외교전 내막에 따르면 태국은 당초 아세안 의장국인 말레이시아와 중국의 중재 제안에도 불구하고 "휴전 선언 전 양자 회담이 먼저"라는 완강한 입장을 고수하고 있었다.
상황이 바뀐 것은 트럼프 대통령의 전화다.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달 27일 품탐 웨차야차이 태국 총리 직무대행에게 직접 전화를 걸어 국경 분쟁이 계속될 경우 36%에 달하는 상호관세율 인하를 위한 무역 협상을 진행하지 않겠다는 뜻을 분명히 전달한 것이다.
결국 최대 수출 시장인 미국과의 무역 협상이 채찍이자 당근으로 돌아오게 되자 태국은 입장을 바꿔 말레이시아가 중재하는 다자 휴전 회담에 참석하기로 결정했다. 한 태국 소식통은 "미국이 (휴전)회담을 정말 강하게 밀어붙였다. 우리도 평화적 해결책을 원했기에 선의를 보이고 수락해야 했다"고 밝혔다. 태국은 해당 문제가 지역 문제로 다뤄지길 원해 중립적인 장소인 말레이시아에서의 휴전 회담을 조건으로 제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캄보디아 정부 관계자도 "캄보디아가 말레이시아에서 회담하자는 제안을 수락했음에도 불구하고 트럼프 대통령이 개입하기 전까지는 태국이 협상을 진전시키지 않았다"고 말했다.
캄보디아가 트럼프 대통령에게 감사를 표하는 이유는 단지 휴전 중재 때문만은 아니다. 짠돌 부총리는 캄보디아산 제품에 대한 미국의 관세율이 당초 49%에서 최종적으로 19%로 낮춰진 것에 대해서도 감사의 뜻을 전했다. 그는 "만약 (예정됐던) 36%의 관세만 부과됐어도 캄보디아의 핵심 산업인 의류·신발 부문은 궤멸됐을 것"이라 밝혔다. 캄보디아 역시 트럼프의 중재로 안보와 경제란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은 셈이다.
트럼프 대통령의 휴전 중재를 받아들인 태국(36%)과 휴전 회담의 핵심적인 중재자 역할을 한 말레이시아(25%) 역시 각각 19%의 관세율을 받아들었다. 싱가포르(10%)·브루나이(25%)·라오스(40%)·미얀마(40%)에 부과된 관세율이 변경되지 않았다는 점에서 트럼프 대통령도 이들 국가에게 휴전 협정에 대한 일종의 '보상'을 안긴 셈이다. 관세가 무역의 영역을 넘어 상대 국가들이 미국의 요구에 부응하도록 만드는 일종의 외교 정책 도구가 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