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태안천, 이번 기회에 ‘물장구 치는’ 하천으로 바뀔까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804010001200

글자크기

닫기

이후철 기자

승인 : 2025. 08. 04. 10:52

환경부 통합·집중형 오염하천 개선일환 400억 투입
하수관거 정비 등 생태계 복원사업에 주민들 기대감
태안천
하수관거 정비 등 생태계 복원사업이 펼쳐지는 태안천.
태안천이 이번에는 깨끗한 수질로 주민들이 즐겨찾는 하천으로 다시 태어날 수 있을까.

최근 충남 태안군 태안읍의 태안천이 환경부의 '통합·집중형 오염하천 개선사업' 유역진단 대상지로 최종 선정된 가운데 새로운 하천으로 변모할지 주민들의 관심을 끌고 있다.

환경부의 통합·집중형 오염하천 개선사업은 지방·소하천의 수질 및 수생태를 단기간 내 개선하기 위해 환경부가 국비를 대규모로 지원하는 것이 골자다.

태안읍에서 부남호로 직접 유입되는 태안천은 총 연장 8.47km, 유역면적 30.41㎢로 유역 인근에 2만여 명이 거주 중이다. BOD(생화학적 산소 요구량) 3등급 및 TOC(수중 유기물을 구성하는 탄소의 총량) 기준 5~6등급이라는 낮은 수질 상태를 보이고 있다.

특히, 도시와 농촌이 혼재된 복합 유역으로 비점오염원(도시·도로·농지·산지·공사장 등 불특정 장소에서 불특정하게 수질오염물질을 배출하는 배출원) 유입이 많아 부남호 수질악화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지적되기도 했다.

군에 따르면, 환경부는 내년 3월까지 국비 2억 4천만 원을 투입해 유역 현황을 파악하고 수질 및 수생태에 영향을 미치는 각종 인자를 분석해 문제를 도출한 뒤 개선대책을 마련하는 유역진단을 실시한다.

진단이 완료되면 곧바로 국비 200억 원과 지방비 200억 원 포함 총 400억 원 규모의 오염하천 개선 사업이 추진된다. 주요 사업은 △하수관거 정비 △비점오염 저감시설 설치 △생태하천 복원 등이다.

사업이 성공적으로 추진될 경우 태안천 수질개선을 통한 하천 생태계 복원과 이를 통한 정주여건 개선 등의 효과가 기대된다. 군은 사업이 성공적으로 추진될 수 있도록 군 차원의 노력을 지속적으로 기울이겠다는 방침이다.

군 관계자는 "군민이 체감할 수 있는 수질 개선 성과를 이뤄내기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며 "태안천이 단순한 농업용수 공급원을 넘어 생태하천으로서 군민들의 사랑을 받을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이후철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