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기관 문서·금융회사 명함도 반드시 사실관계 확인해야
가상자산거래소 가입 유도는 사기 가능성 높아…신고 여부 확인 필수
|
금융감독원은 최근 가상자산 투자 열기가 이어지는 가운데 투자 손실 보상, 코인 무료 지급, 개인정보 유출 피해 보상금 등을 미끼로 접근하는 투자사기 피해가 늘고 있다며 10일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다.
금융투자 손실이나 개인정보 유출 피해를 보상해주겠다며 접근해 가짜 거래소 가입을 유도하는 사기 수법이 기승을 부리고 있다. 구체적으로 정부기관 명의의 가짜 문서를 제시하거나 금융회사 직원을 사칭해 신뢰를 쌓고, 가짜 가상자산거래소 지갑 화면을 조작해 손실 보상금이 지급된 것처럼 꾸며 투자자들을 유인한다. 이후 코인이 과다 지급됐다는 이유로 추가 입금을 요구하거나 대출을 유도하고, 투자자가 출금을 요청하면 락업기간이 지나야 코인 매도가 가능하다며 출금을 거절하다 잠적하는 방식이다.
최근에는 로또 번호 예측 사이트나 주식 리딩방 가입자에게 회원 가입비 환불을 미끼로 접근하는 사례도 증가하고 있다. 채팅방 내에서 "가입비 환불을 받았다"고 허위 인증 하는 바람잡이를 동원해가며 피해자들을 안심시키는 것이 특징이다.
금감원은 정부기관이 특정 업체에 과거 투자 손실 보상이나 가입비 환불을 이행하라는 내용의 문서를 보내지 않기 때문에 외관상 그럴듯한 문서라도 반드시 해당 기관에 사실관계를 확인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손실 보상금을 코인으로 선지급한다며 가상자산거래소 가입을 유도하는 경우 사기일 가능성이 매우 높다. 특히 사이트상 수익 금액은 조작된 화면일 수 있으므로 실제 수익으로 오인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금융정보분석원에 신고되지 않은 가상자산거래소는 사기 목적의 가짜 거래소일 가능성이 높다. 홈페이지에서 반드시 '가상자산사업자 신고 현황'을 확인해야 한다. 신고된 거래소를 사칭하는 경우도 있으므로 고객센터에 직접 문의해 사실관계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또 불법 가상자산 사기 피해가 의심될 경우 문자메시지, 입금내역 등 증빙자료를 확보해 경찰에 신속히 신고하거나 금융감독원 가상자산 불공정거래 및 투자사기 신고센터에 제보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