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 장관은 이날 서울 중구 정동에 위치한 민주노총을 방문해 "오랜만에 정동 사무실에 오게 돼 감회가 새롭다"며 "현장에 있을 때 노동자 권리 요구하는 입장이었다면, 이제 국무위원 한 사람으로 노동자 권리를 어떻게 두텁게 보호할 것인가를 보겠다"고 말했다.
이날 간담회에서는 노란봉투법 후속 과제를 비롯해 특수고용·플랫폼 및 5인 미만 사업장 노동자 권리 보장, 산업재해 예방과 처벌 강화, 노정교섭, 회계공시와 타임오프 등 주요 현안이 논의됐다.
김 장관은 "많은 노동자들의 억울한 이야기를 들었다. 일하는 사람이 돈을 못 받거나 차별받는 일이 없어야 한다"며 임금체불 근절, 이주·성별 차별 해소, '죽지 않고 일할 권리' 보장을 3대 과제로 제시했다. 그러면서 "9월 중 산업안전 범정부 대책을 조속히 마련하고, 중대재해 5개년 계획도 필요하다"며 "양대노총 산안 전문가와 협력해 전국 현장을 꼼꼼히 점검하는 민관 협동 체계를 만들겠다"고 강조했다.
김 장관은 지난 2010년 1월부터 2012년 11월까지 민주노총 제6기 9대 위원장을 지냈으며, 임기 후에도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산하 전국철도노동조합 제26대 위원장을 맡는 등 민주노총과 긴밀한 관계를 유지해 왔다. 장관 취임 전부터 '친노동' 인사로 분류된 배경이다.
김 장관의 이번 방문으로 민주노총의 사회적대화 복귀 여부에 관심이 집중된다. 민주노총은 1999년 이후 경사노위에 참여하지 않고 있다. 노동현안을 논의하는 법적 지위를 가진 유일한 사회적대화 기구 경사노위엔 한국노동조합총연맹(한국노총)만이 참여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