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박근혜·이명박 전 대통령. /연합 |
'국민주권 대축제, 광복 80주년 국민주권으로 미래를 세우다' 제목으로 진행될 이번 임명식은 이날 오후 8시부터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진행된다. 지난 6월 3일 대통령에 당선된 뒤 인수위원회 없이 임기를 시작한 이 대통령은 이튿날 국회에서 간략한 취임식을 했다. 그래서 국민임명식 얘기가 나오자 일부에서는 '약식이지만 취임식을 이미 하지 않았느냐'는 시각이 있었다. 그래도 이 대통령이 광복 80주년에 맞춰 공식 취임식을 기획한 것에는 국민통합의 메시지를 전하려는 목적이 담겨져 있을 것이다.
대통령제 국가인 미국은 물론 의원내각제의 영국·일본 등에서 새 정부 수반의 취임식은 국민이 하나 되는 대표적인 국가 의식(national ritual)이다. 이념과 정파를 떠나 정치인과 각 분야를 대표하는 시민이 참석하는 것은 물론 전임 대통령과 총리 등이 자리를 같이하며 축하하는 게 전통이자 관행이다. 이렇게 해서 하나 되는 의식이 갖는 의미와 힘은 결코 작지 않다.
거기에는 정파와 이념은 비록 다르지만 그래도 '우리는 하나'라는 강력한 메시지가 담겨 있다. 국가공동체에 대한 국민의 충성과 국민 상호 간의 유대를 재확인하는 의미도 있다. 지난해에는 윤석열 전 대통령이 22대 국회 개원식에 불참해 중요한 국가 의식을 대통령이 훼손했다는 비판을 받은 바 있다.
이런 의미에서 반쪽 대통령 취임식은 극한의 대립으로만 치닫는 한국 정치의 상징으로 보인다. 그래서 민주당 수석대변인이 "야당이 국민임명식에 불참하는 문제는 국민의힘이 전략적, 정무적으로 선택한 하나의 카드"라며 "굳이 참석을 요청하거나 설득할 단계가 아니다"라고 한 것은 매우 아쉽다. 여야 관계의 긴요한 단추라고 할 대통령 취임식이 반쪽짜리가 될 판인데도 이렇게 아무렇지 않게 여긴다면 앞으로 여야가 함께할 공통분모가 무엇인지 묻지 않을 수 없다.
정세균 전 총리는 "일부 국민만 지지하는 임명식이 된다면 그 의미가 반감될 것이다. 민주당이 국민과 함께하는 임명식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는 지혜가 있었으면 좋겠다"고 했다. 여권이 최소한 이런 자세는 보여야 하지 않겠는가. 국민은 통합과 협치, 대화의 모습을 담은 온전한 대통령 취임식을 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