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서울시, 땅꺼짐 징후 발견 시 전문가 즉각 출동키로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814010007195

글자크기

닫기

박지숙 기자

승인 : 2025. 08. 14. 16:36

서울시, 대한토목학회·한국지반공학회·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협약
지하안전자문단 강화
협약식 사진1_ 좌측부터 황영철 한국지반공학회 회장, 김성보 서울시 행정2부시장, 최동호 대한토목학회 회장, 문준식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부회장
서울시가 지반 관련 분야 전문 학회 3곳과 14일 업무협약을 맺고 지반침하 사고에 신속하고 전문적인 대응에 나선다. 좌측부터 황영철 한국지반공학회 회장, 김성보 서울시 행정2부시장, 최동호 대한토목학회 회장, 문준식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부회장/서울시
서울시가 지반 관련 분야 전문 학회 3곳과 업무협약을 맺고 지반침하 사고에 신속하고 전문적인 대응에 나선다.

시는 14일 오후 2시 서울시청에서 대한토목학회, 한국지반공학회,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와 '지반침하 예방 및 대응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날 협약을 체결한 전문 학회는 △대한토목학회(1951년 창립) △한국지반공학회(1984년 창립)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1992년 창립)이다. 각 학회는 토목·지반·터널 및 지하공간 분야의 연구, 기술 교류, 정책 제안 등 다양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협약식에는 김성보 서울시 행정2부시장과 최동호 대한토목학회 회장, 황영철 한국지반공학회 회장, 문준식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부회장이 참석했다.

시는 최근 기후변화와 도시개발로 인해 전국적으로 지반침하 사고가 잇따르면서, 지하 안전과 관련해 보다 전문적이고 선제적인 대응체계의 필요성이 높아짐에 따라 이번 협약을 추진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또한 지반침하를 전담하는 '지하안전과'를 7월 1일 자로 신설해 운영하고 있으며, 공사장 주변에 대해 월 1회 이상 GPR 탐사를 시행하고 결과를 '서울안전누리'에 공개하는 등 지하 안전관리를 강화하고 있다.

이번 협약으로 시와 3개 학회는 지반침하 사고의 원인을 조사하는 '지하안전자문단'의 전문성과 현장 대응 역량을 크게 강화할 예정이다.

지반침하 징후가 발견되거나 사고가 발생해 전문가의 점검이 필요할 때, 현장에 출동해 원인을 면밀히 분석하고 조사 결과를 토대로 복구 계획과 재발 방지 대책을 마련하게 된다.
자문단은 지반·토목공학 등 관련 분야의 민간 전문가들로 구성되며, 일정 규모 이상의 지반침하 발생 시 신속히 현장을 찾아가 침하의 원인과 향후 정비 방안 등에 대한 전문적인 자문 의견을 제시한다.

자문 검토대상지는 현행 법정 기준(사고 면적 1㎡ 이상)보다 강화된다. 구체적으로는 △면적 0.8㎡ 이상 또는 깊이 0.8m 이상이거나 인명피해가 발생한 지반침하 지역 △굴착공사장과 인접 도로 또는 동일 지점에서 반복 발생한 지반침하 지역 등이 해당된다.

시는 이번 협약을 통해 지반침하 위험에 대한 사전 대응 역량을 크게 높여, 시민이 안심할 수 있는 안전한 도시환경 조성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김성보 시 행정2부시장은 "지반침하는 시민의 안전과 직결되는 문제인 만큼, 전문가들과의 긴밀한 협력을 바탕으로 예방 중심의 안전관리 체계를 정착시켜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전문가 중심의 지하안전자문단 운영을 통해 지반침하 피해를 최소화하고, 시민이 안심할 수 있는 안전한 서울을 만들어가겠다"고 강조했다.
박지숙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