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 수요 맞춘 공간 논의
|
이날 간담회에서는 경찰청, 한국자산관리공사 및 민간전문가가 참여해 도심 유휴 국유지를 활용한 청년주택 공급 확대 방안, 청년 수요에 맞춘 공간 설계 방안 및 청년 주거비 부담을 경감하기 위한 민간 참여 개발 활성화 방안 등을 논의했다.
기재부는 지난 12일 '2026년 국유재산재산종합계획'을 통해 '국유지·노후 공공청사를 활용하여 청년·서민용 공공주택 3만5000호 이상 공급'을 발표하면서, 구 서울경찰기마대 부지, 광명세무서, 서울출입국관리사무소 등을 대상사업 후보지로 밝힌 바 있다.
서울 성수동에 위치한 구 서울경찰기마대부지는 1972년부터 경찰기마대 및 마장으로 운영됐지만, 지난해 2월 경찰기마대 해체로 운영이 종료돼, 현재 일부 건물을 경찰청에서 임시 사용하고 있다.
기재부는 이 부지를 단순 주거시설이 아닌 상징성과 창의성을 갖춘 대표적인 청년주거 공간으로 개발할 계획이다.
구체적으로 건물의 주거공간은 약 400호 규모의 청년주택을 공급하고, 공용공간은 열린 공동체 공간으로 설계해 임시 전문매장(팝업스토어)과 전시·예술공간을 마련하는 등 청년 창업·문화 선도 공간으로 조성할 예정이다.
또한, 민간사업자가 토지비 부담없이 사업추진이 가능하도록 해당 부지를 장기대부(50년간+갱신허용)하는 방식으로 제공해, 주변 시세보다 저렴한 청년임대주택을 공급함으로써 청년 주거비 부담을 경감시킬 계획이다.
올해 하반기에 구체적인 사업계획을 수립하고, 민간사업자 선정, 건축 설계 및 인허가 등을 거쳐 2028년에 착공해 2030년 준공할 예정이다.
안 재정관리관은 "구 서울경찰기마대부지에 조성할 청년주택 개발사업은 유휴 국유지 활용과 청년 주거 안정이라는 두 가지 목표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선도사례"면서 "경찰청·한국자산관리공사 등과 긴밀히 협력해 해당 사업을 조속히 추진하고, 향후 청년 주거지원을 위한 다양한 방안을 적극 모색하겠다"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