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野, 우원식에 ‘본회의 연기’ 요청…“남의 집 잔칫상에 재 뿌려”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819010008585

글자크기

닫기

이체리 기자

승인 : 2025. 08. 19. 10:22

"李 대통령, 최교진 후보자 지명 철회해야…국민 모욕"
국민의힘 원내대책-10
송언석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 겸 원내대표가 19일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이병화 기자
국민의힘은 19일 우원식 국회의장에게 본회의 개최를 8·22 전당대회 이후로 미뤄달라고 요청했다. 더불어민주당은 오는 21일 8월 임시국회 본회의에서 노란봉투법과 방송 2법 등 쟁점 법안 처리를 예고한 상황이다.

송언석 비상대책위원장 겸 원내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에서 "합동연설회 도중 중앙당사를 빈집 털 듯 들이닥친 특검도 모자라 전당대회 하루 전날 본회의를 강행하겠다는 여당의 행태는 야당의 전당대회를 고의로 방해하려는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노란봉투법 등 쟁점 법안을 '반시장 악법'으로 규정하며 "이재명 정권의 치졸한 행태가 개탄스럽다"며 "여당이나 왜 이토록 야당의 전당대회를 방해하지 못해 안달인지 모르겠다"고 지적했다.

이어 노란봉투법을 비롯한 쟁점 법안들을 '반시장 악법'이라고 규정하며 "이재명 정권의 치졸한 행태가 참으로 개탄스럽다"며 "우 의장은 본회의 일정을 전당대회 이후로 연기해 최소한의 예의를 지켜달라. 여야 간의 최소한의 예의조차 없는 본회의 일정 편성을 국회의장께서 바로잡아 주시기를 바란다"고 강조했다.

당초 국민의힘은 일방적인 본회의 일정 편성에 반발하며 필리버스터(무제한 토론)를 예고한 상태지만, 여당 주도로 법안들이 상정될 경우 21일부터 최소 이틀간 발이 묶이게 된다. 국민의힘 차기 지도부를 뽑는 전당대회 흥행에 '적신호'가 켜진 것이다.

송 비대위원장은 민주당을 겨냥해 "남의 집 잔칫상에 재를 뿌리겠다는 심보는 반드시 국민 심판받을 것"이라며 "악업을 쌓으면 반드시 재앙이 따르기 마련"이라고 비판했다.

아울러 이재명 정부 법안에 반발이 큰 경제계의 입장을 무시하고 있다고도 했다. 송 비대위원장은 "한국경영자총협회(경총)는 이날(19일) 결의대회를 통해 반시장 악법 강행 처리를 멈춰달라고 간곡히 호소한다고 한다"며 "하지만 귀를 틀어막은 '이재명 귀틀막 정권'은 오로지 민주노총의 하명을 받들기 위한 입법속도전에만 열을 올리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일방적인 추진을 멈추고 경제계와 여야가 함께 협의해 '친기업' 입법에 나서야 한다고 제안했다.

이어 "정부여당이 조금이라도 대한민국 경제를 생각하는 마음이 있다면 '파업 공화국'으로 만들 노란봉투법과 기업을 해외로 내쫓게 만드는 더 센 상법 등 반기업 악법의 강행 처리를 즉각 중단해야 한다"며 "경제계와 여야가 머리를 맞대고 합리적인 친경제, 친시장, 친기업 입법에 나설 것을 다시 한번 강력히 촉구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한편 송 비대위원장은 이재명 대통령이 '민심'이 아닌 '당심'에 따라 움직이고 있다고 주장했다.

송 비대위원장은 "이 대통령은 대한민국 대통령이 아니라 민주당의 당대표인 것으로 혹시 착각하고 있는 것이 아닌가"라며 "배추 총리 김민석, 갑질 여왕 강선우까지 끊임없는 인사 참사, 국회 법제사법위원장이 정책 발표 직후 차명으로 주식을 팔아치운 '이춘석 게이트', 파렴치범 '조국·윤미향 사면', 굴욕적 관세협상 등 국정 난맥상이 이어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최교진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에 대한 지명 철회를 촉구하기도 했다. 송 비대위원장은 최 후보자의 과거 음주 운전 이력과 '검찰 칼춤' 발언, 부하 직원 성추행한 당시 박원순 서울시장을 옹호하는 내용이 담긴 책을 세종시 학교에 배포하는 등의 행적을 거론하며 "국민과 교직 사회에 대한 모욕"이라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민심을 따르는 국정운영을 할 것인지, 당심만 좇을 것인지는 이 대통령의 몫"이라며 "동서고금의 역사가 특정 정파에 근거한 국정운영은 실패한다는 점을 보여준다"고 비판했다.
이체리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