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韓日 ‘앞마당 이웃’ 공감… 국익중심 ‘미래 지향’ 협력 방점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825010011650

글자크기

닫기

도쿄 이충재 기자

승인 : 2025. 08. 24. 17:00

17년 만에 양국 정상 공동문서 채택
李대통령 "관행 탈피, 실용외교 실천"
이시바 "관계 발전은 지역 전체 이익"
과거사·협력 의제 분리 '투트랙' 기조
수소·AI 경협 강화, 워홀 확대도 추진
이재명 대통령 부부, 한미 정상회담 위해 미국으로 출발
한일 정상회담을 마친 이재명 대통령과 부인 김혜경 여사가 24일 일본 도쿄 하네다공항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의 한미 정상회담을 위해 워싱턴D.C.로 향하며 공군 1호기에 올라 인사하고 있다. /연합
이재명 대통령은 23일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와 115분간 마주 앉아 외교안보경제 분야를 아우르는 한일협력 강화를 역설했다. 이날 오후 4시 55분부터 6시 50분까지 일본 도쿄 총리관저에서 진행된 정상회담 테이블에는 '과거사' 문제는 빠지고 '미래협력' 이슈가 메인 메뉴로 올랐다. 한국 대통령이 1965년 한일 국교 정상화 이후 양자외교 첫 방문국으로 일본을 택한 것이 처음이라는 점도 크게 주목받았다.

◇115분 회담, 美보다 日먼저 최초, 17년만에 공동문서 채택

특히 이 대통령은 "서로 좋은 면들을 존중하고, 불필요한 것들에 대해서는 보정하고, 필요한 것을 서로 얻을 수 있도록 협력하는 것이 이웃 국가 간에 가장 바람직한 관계"라며 "어려운 문제는 어려운 문제대로 해결하고, 도저히 접근하기 어려운 것은 숙고해서 협력할 분야는 협력하는 것이 양국 정치인들이 할 일"이라고 강조했다.

이는 "과거를 직시하되 미래로 나아가자"는 대일외교 원칙에 따라 일본과의 과거사와 미래의 협력 의제를 분리하는 '투 트랙' 기조를 재확인한 것이다. 이 대통령이 올린 정상회담 의제와 발언 대부분은 '미래'에 방점이 찍혔다.

이 대통령은 "한국과 일본은 앞마당을 같이 쓰는 이웃 같은 관계"라는 '앞마당 협력론'을 폈고, 이시바 총리는 "일본과 한국의 관계 발전은 양국 관계뿐 아니라 이 지역 전체에 이익이 된다"고 했다.

◇과거 대신 '미래'에 방점…"미래 지향적인 상생 협력의 길"

이 대통령은 "1965년 한일 국교 정상화 이래 대한민국의 대통령이 취임 후 첫 양자 방문 국가로 일본을 찾은 것은 제가 최초라고 하고, 한일정상회담 뒤 결과를 공동 문서로 발표하는 것도 17년 만에 처음"이라며 "우리가 한일관계를 얼마나 중시하는지를 보여주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이어 "기존 관행에서 과감히 탈피해 국익 중심의 실용 외교를 실천하고 미래 지향적인 상생 협력의 길을 함께 열고자 하는 신념 위에 오늘 일본을 방문한 것"이라며 "셔틀 외교가 한일 외교의 새로운 모델로 정착되기를 바란다"고 했다.

대북정책에 대해서도 이 대통령은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 및 항구적 평화 구축 의지를 재확인했다"며 "대북정책에 대한 긴밀한 공조를 지속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시바 총리는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를 위해 한일, 한미일 간 긴밀히 협력하기로 했다"며 "적극적으로 노력하지 않으면 평화도 안정도 찾아오지 않는다. 이러한 격동의 시대에는 더욱 그렇다"고 했다.

◇수소·AI 경제협력 강화하기로…'워킹홀리데이'도 확대 추진

구체적인 경제 의제도 논의됐다. 양국 정상은 수소·AI(인공지능) 협력을 강화하기로 했고, 저출산 문제를 비롯한 공통과제에 대응하기 위한 협의체를 만들기로 했다. 현재 1회 한정인 워킹홀리데이 제도를 확대하기로 했다. 양국 교류 확대로 경제 협력을 촉진하겠다는 구상이다.

이 대통령은 "1200만 교류시대를 맞아 한일 청년들이 서로 문화를 체험하고 이해하는 기회를 넓히기 위해 워킹홀리데이 참여 횟수를 확대하기로 합의했다"고 밝혔다.

위성락 국가안보실장은 24일 현지 브리핑에서 한일회담 결과에 대해 "이 대통령이 취임 후 2개월 만에 일본을 방문함으로써 셔틀외교의 조기 복원을 했다는 점"이라며 "일본과 미국을 연계 방문함으로써 한일, 한미일 협력 강화를 실현했다"고 했다.
이충재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