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로 전파 정밀 추정 및 용량 확보
|
KT는 26일 전남 나주서 AI-RAN 기술을 상용 5G 네트워크에 적용해 기술 검증을 시작했다고 밝혔다. AI-RAN은 무선 기지국과 서버 간의 실시간 트래픽 데이터를 인공지능으로 분석해, 최적의 전파 환경을 자동으로 구현하는 차세대 네트워크 기술이다.
KT는 이번 검증에 노키아의 최신 5G 기지국과 AI 전용 프로세서를 활용했다. AI-RAN이 상용망에 적용된 것은 국내 최초다. KT는 향후 적용 지역을 단계적으로 확대하고 본격적인 상용 서비스에 나설 방침이다.
AI-RAN은 6G 시대의 핵심 인프라로 꼽힌다. 이번 검증은 이를 위한 선제적 기술 확보 차원이다. KT는 현재 상용 5G망에 적용 중인 AI-RAN 기술을 고도화해 향후 6G 표준에 맞는 기술 사양과 운용 기준을 주도적으로 수립하겠다는 계획이다.
KT가 이번에 검증하는 주요 AI-RAN 기능은 △머신러닝 기반 채널 추정 △머신러닝 기반 MU-MIMO 등 두 가지다.
먼저 '머신러닝 기반 채널 추정' 기술은 AI가 산악 지형이나 고층건물처럼 전파 환경이 복잡한 지역에서도 전파 세기를 더욱 정밀하게 예측해 전송 품질을 향상시키는 기술이다. 기존 수학 기반 예측 방식의 한계를 보완해 데이터 손실과 지연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동일 주파수 대역에서 더 많은 데이터를 안정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머신러닝 기반 MU-MIMO'는 다수 이용자에게 하나의 주파수와 시간 자원으로 동시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술이다. AI가 실시간으로 각 단말의 위치와 트래픽 상황을 분석해 간섭이 적은 사용자 조합을 찾아냄으로써 기지국의 데이터 처리량을 극대화하고 사용자에게는 빠른 속도와 안정적인 품질을 제공할 수 있다.
권혜진 KT 네트워크전략본부장은 "AI-RAN은 체감 품질을 높이는 동시에 6G 진입을 위한 핵심 기술"이라며 "KT는 상용망에서 가장 먼저 AI-RAN을 적용한 만큼 앞으로도 네트워크 기술 리더십을 공고히 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