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6일(현지시간) 로이터와 AP에 따르면 파키스탄 외교부는 전날 인도가 자국에 국경을 넘는 대규모 홍수 발생 가능성을 경고하는 정보를 전달해왔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 5월 양국이 미사일을 주고 받는 군사적 충돌을 벌인 이후 처음으로 확인된 공식 외교 접촉이다.
하지만 이번 신호는 양국 외교 관계의 '해빙' 신호보다는 임시적인 '인도주의적 조치'에 가깝다. 인도 측은 이번 경고가 1960년 세계은행(WB)의 중재로 체결된 인더스강 조약에 따른 공식적인 수자원위원회가 아닌, 파키스탄 주재 인도 고등판무관실을 통해 전달했다고 밝혔다.
인도는 지난 4월 인도령 카슈미르에서 발생한 힌두교 관광객 26명 사망 테러의 배후로 파키스탄을 지목한 뒤, 인더스강 조약을 일방적으로 중단시킨 바 있다. 익명을 요구한 인도 정부 관계자는 "이번 정보 공유는 조약에 따른 것이 아니라 순수한 인도주의적 차원에서 이루어졌다"고 선을 그었다.
이례적인 이번 소통의 배경에는 양국을 동시에 강타하고 있는 최악의 몬순 홍수가 있다. 6월 말부터 시작된 폭우로 파키스탄에서는 현재까지 799명이 사망했으며, 인도령 카슈미르에서도 이달에만 최소 60명이 목숨을 잃었다.
특히 인도 북부에 쏟아진 폭우로 인도 측 댐 수위가 한계에 다다르면서, 대규모 방류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인도가 방류한 물은 파키스탄 펀자브주를 흐르는 수틀레지강 등으로 유입돼 파키스탄에 훨씬 더 큰 홍수 피해를 야기할 수 있다.
파키스탄은 이번 경고를 계기로 인도 측에 "인더스강 조약의 모든 조항을 준수하라"고 재차 촉구했다. 파키스탄 외교부는 성명을 통해 "조약을 유예하겠다는 인도의 일방적인 선언은 국제법을 심각하게 위반하는 것으로 남아시아의 평화와 안정에 중대한 부정적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