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7일 서울 여의도 국회도서관 대강당에서 열린 '제10회 아시아투데이 에너지혁신포럼'에서 유승훈 교수는 "제가 알기로는 수소에 대한 투자가 전혀 없고 전액 한전에 부담을 시키고 있다"면서 "현행 전기요금과 수소 발전 원가의 차액을 한전이 다 (부담한다면) 현장의 재무구조는 악화될 수 밖에 없다"고 우려했다. 그러면서 "결국 정부의 재정 보조가 있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유 교수는 현재 기후 대응 기금이 국내 산업 활성화에 제대로 기여하고 있지 않다는 점도 강조했다.
유 교수는 "발전 부분이 부담하는 배출권 할당 수입을 가지고 수소 부분에 지원할 수 있도록 재원 관리와 집행 주체를 에너지 담당 부서인 산업통상자원부로 가져와서 환경부가 대기 정책의 일환으로 전기버스 보조금으로만 집행하는 안 좋은 관행을 해결해야 한다"고 봤다.
또한 국내에서 수소와 관련한 주요 수요처는 신도시에 입지하고 있는 LNG 열병합 발전소인데, 이 발전소는 궁극적으로 수소를 혼소하다가 전소로 되는 발전소로 전환돼야 하는데, 이와 관련한 계획이 없다는 점도 지적했다.
유 교수는 "적어도 수도권에는 수소와 관련된 배관을 까는 정부의 계획이 마련돼야 실제로 수도권에 있는 여러 LNG 열병합 발전소들이 수소를 활용하고 또 수도권에 있는 모빌리티 쪽에서도 활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