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벌이·다문화·농촌 가정 수요 반영한 돌봄 프로그램 확산
|
교육부는 오는 28일 서울 로얄호텔에서 '거점형 돌봄기관 정책 소통 간담회'를 개최한다고 27일 밝혔다.
이번 간담회에는 전국 거점형 돌봄기관장들이 참석해 운영 성과와 모니터링 결과를 공유하고, 지역사회 돌봄 체계 속에서의 역할 정립을 논의했다.
거점형 돌봄기관은 유치원과 어린이집을 구분하지 않고 이른 아침·늦은 저녁·주말·방학 등 취약 시간대에 인근 타 기관 유아까지 돌봄을 맡는 형태다. 올해는 11개 시도에서 공모를 거쳐 총 56개 기관(유치원 25곳, 어린이집 31곳)이 지정됐다.
교육부는 학계·현장 전문가들로 '거점형 돌봄 지원단'을 꾸려 지난 5~8월 모니터링을 진행했으며, 보험 가입 여부 확인과 특색 사례 발굴 등 현장 안정성 확보에도 힘썼다.
지역별 운영 사례도 다양하다. 광주에서는 아침 7시 30분부터 마음안정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통학버스로 원 소속 기관까지 유아를 안전하게 이동시켰다. 경북에서는 저녁 돌봄 시간대에 요가·동화·종이접기 등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통학 차량으로 귀가를 지원했다.
울산은 토요돌봄을 통해 예술·생태 체험을 결합한 놀이환경을 마련했고, 경기는 다문화 가정이 많은 지역 특성을 반영해 휴일 놀이형 돌봄을 운영했다.
방학 돌봄 사례로는 제주에서 문학 활동과 숲·물놀이를 접목한 프로그램을, 충남에서는 소규모 병설유치원이 연합해 전래놀이·마을체험 등을 제공한다.
박대림 교육부 영유아지원관은 "이번 간담회를 통해 제안된 의견을 정책에 반영해 학부모들이 더 쉽게 돌봄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운영 방식을 개선하겠다"며 "교육부·교육청·지자체·유치원·어린이집이 지속 협력해 거점형 돌봄기관이 지역사회 내에서 틈새 돌봄을 내실 있게 수행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