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계 간담회도 진행…"혁신 기술 화장품 개발 지원"
|
28일 식약처는 오 처장이 LG생활건강 기술연구원를 방문, 인공지능(AI) 등 첨단기술이 적용된 연구 현장을 살펴보고 화장품 업계와 간담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방문은 법정 기념일로 지정된 후 처음 맞는 '화장품의 날(9월 7일)'을 기념해 급변하는 글로벌 화장품 시장 환경 속에서 K-뷰티의 기술력을 확인하고 지속적인 산업 성장과 미래 비전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오 처장은 연구원에서 피부 특성과 유전자 데이터를 분석해 맞춤형 스킨케어 솔루션을 개발하고, 염색 시술 전·후를 비교해 고객이 원하는 헤어컬러의 염모제를 제공할 수 있는 증강현실(AR) 기술이 접목된 사례를 확인했다. 또 얼굴 이미지 기반으로 피부 유형을 분류할 수 있는 비전 AI 기술 활용 현장 등을 직접 살펴봤다.
오 처장은 "국산화장품의 뛰어난 기술력과 혁신적인 노력이 K-뷰티의 위상을 높이는 데 큰 역할을 하고 있다"며 연구원들의 노고를 격려했다.
이후 화장품 업계와 간담회를 개최해 국내 산업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논의했다. 이날 간담회에서 업계는 △중동·남미 등 신시장 진출을 위한 규제기관 간 협력 및 규제정보 제공 확대 △안전성 평가제 도입 관련 업계 맞춤 지원 △AI 기반 기능성화장품 심사지원 체계 구축 등이 필요하다고 건의했다.
오 처장은 "식약처는 안전을 최우선으로 하되, 규제를 합리적으로 개선하고 업계의 자율성과 창의성을 최대한 보장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추진하겠다"며 "특히 혁신 기술을 활용한 화장품 개발과 수출을 적극적으로 지원해 K-뷰티가 글로벌 시장에서 더욱 확고한 리더십을 가질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식약처는 미국, 중국 등에서 안전성 평가제를 시행함에 따라 화장품 산업의 국제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국내에도 안전성 평가 제도 도입을 준비하고 있다. 동시에 맞춤형 컨설팅, 가이드라인과 해설서 등을 마련해 제공하는 등 화장품 업계를 지원할 예정이다.
식약처 관계자는 "앞으로도 업계와 소통을 강화하고 주요 수출국과 규제 외교를 적극 추진해 K-뷰티 산업의 지속적인 성장을 위한 정책적 지원을 아끼지 않을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