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자 50%, 여름철에 발생…장소는 음식점 '최다'
|
29일 식품의약품안전처는 '2024년 식중독 발생 현황'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식중독은 총 265건, 환자수 7624명으로 전년 대비 각각 26%, 13% 감소했다.
지난해 제1의 식중독 원인균은 살모넬라로, 최근 3년간 가장 많았던 노로바이러스를 제쳤다. 지난해 발생한 식중독의 원인병원체는 살모넬라 58건(32%), 노로바이러스 37건(20%), 병원성대장균 24건(13%) 순으로 나타났다.
살모넬라 식중독의 66%(38건)는 음식점에서 발생했다. 살모넬라균은 달걀 껍질에서 다른 식품으로 교차오염이 될 수 있으므로 달걀을 만진 후에 반드시 세정제 등을 사용해 손을 깨끗이 씻고, 오염이 의심되는 식품은 섭취하지 않아야 한다고 식약처는 전했다.
월별 식중독 발생 경향을 살펴보면 2월을 제외하고 매월 10건 이상 발생했므여, 기온과 습도가 높은 여름철(7~9월)에 발생한 식중독이 전체 건수의 39%, 환자수의 50%를 차지했다. 특히 폭염이 지속되는 7∼8월에는 살모넬라, 병원성대장균 등에 의한 세균성 식중독이 주로 발생했다. 기온이 낮은 1월과 12월에는 노로바이러스 등 바이러스 식중독 발생이 높았다.
식중독이 가장 많이 발생한 시설은 음식점(154건, 2593명)으로 나타났으며 학교 외 집단급식소(35건, 1424명), 기타시설(33건, 1831명) 등이 뒤를 이었다. 외식 문화 발달의 영향으로 한식, 횟집?일식을 취급하는 음식점에서 주로 발생했으며 학교 등의 집단급식소에서도 식중독이 많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식약처 관계자는 "9월에도 식중독이 지속 발생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국민은 평소 식중독 예방 수칙('손보구가세')를 준수해야 한다"며 "앞으로도 식중독 예방 교육·홍보 및 점검을 강화하는 등 국민의 안전하고 건강한 식생활 환경 조성에 최선을 다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