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6년 200억원 규모 조성해 매년 확대 방침
|
경찰청은 행정안전부(행안부)와 함께 치안산업 관련 펀드인 '국민안전산업펀드'를 조성하고 첨단기술 기반의 창업기업, 기술사업화, 국외 판로확보 벤처·중소기업을 중점 육성한다고 1일 밝혔다.
이는 세계 치안산업 시장이 큰 폭으로 성장하는 추세에 따른 대응이다. 경찰청에 따르면 지난 2023년 기준 국내 치안산업은 38조원 정도다. 재난안전산업(59조원) 등 다른 산업보다 규모가 작다.
다만 'Fortune Business Insight'가 지난 2021년 발간한 자료에 따르면 전 세계 치안산업 성장 규모는 연평균 10.2% 성장할 것으로 전망됐다. 또한 AI 등 첨단기술을 활용해 다른 산업으로의 기술 파급력이 높은 산업이라는 평가도 받아왔다.
이에 경찰청은 AI 등 첨단기술을 보유한 우수 기업들을 육성하기 위해 기획재정부·행안부 등과의 논의를 거쳐 치안·재난산업 등을 '국민안전산업'으로 범주화하고 해마다 펀드를 확대하겠다는 방침이다.
먼저, 펀드 조성 첫해인 2026년 정부 예산 100억원과 민간자본 100억원을 결합해 200억원 규모의 펀드를 조성하겠다는 계획이다. 펀드재원을 활용한 투자 대상 기업은 AI나 드론 등 첨단기술을 기반으로 국민안전산업 분야 창업기업, 기술사업화나 국외 판로확보 관련 벤처·중소기업으로 설정한다. 민간자본의 원활한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주목적투자비율과 기준수익률도 유사 정책펀드를 참고해 설정하겠다는 구상이다.
경찰청은 이와 관련한 '치안산업진흥법(가칭)' 제정도 추진하고 있다. 현재 이 법안은 국회에서 심사가 진행 중이다.
최주원 경찰청 미래치안정책국장은 "국민안전산업펀드는 단순한 금융상품이 아니라 K-치안산업이 제2의 K-방위산업으로 도약하기 위한 전략적 성장 사다리"라며 "국가 브랜드 가치를 높이는 핵심 정책수단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