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시진핑 연설·김정은 참석 …中 전승절 80주년 열병식 관전 포인트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902010000977

글자크기

닫기

김도연 기자

승인 : 2025. 09. 02. 11:02

블룸버그통신, 신형 무기 공개·대기질 관리 등 주목
CHINA SCO PLUS MEETING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1일 중국 톈진에서 열린 '상하이협력기구(SCO) 플러스'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신화·EPA 연합뉴스
중국은 제2차 세계대전에서 일본을 상대로 승전한 것을 기념하는 전승 80주년을 맞아 오는 3일 '중국인민 항일전쟁 및 세계 반파시스트 전쟁(제2차 세계대전) 승리 80주년' 열병식을 베이징 톈안먼 광장에서 개최한다.

2015년 열린 전승절 열병식에서는 국기 게양식과 시진핑 국가주석의 연설로 시작해 시 주석이 중국산 홍치(紅旗) 승용차를 타고 장병들을 사열한 뒤 톈안먼 성루로 돌아와 무기 퍼레이드를 지켜봤다. 당시에는 해외 각국 군대도 행렬에 참여했다.

그로부터 10년이 흐른 지금, 중국의 세계적 위상은 크게 달라졌고 군사 장비는 한층 발전했으며, 군 내부는 고위층 숙청을 겪었다. 톈안먼 광장에서 최신 무기를 앞세운 대규모 군사 퍼레이드가 예고된 가운데, 블룸버그통신은 1일(현지시간) 세계가 주목하는 전승절 80주년 열병식의 관전 포인트를 10년 전과 비교해 5가지로 보도했다.

◇시진핑 연설 = 시 주석은 이번 열병식에서도 연설에 나설 예정이다.

중국의 전쟁 성과와 희생을 강조하는 발언이 주를 이루겠지만, 2015년 연설에서는 인민해방군 병력을 30만 명 감축하겠다고 전격 발표해 중국 군사사상 최대 규모의 구조 개편을 이끌었다. 당시 개혁으로 전구(戰區) 재편, 중앙군사위원회 권한 통합, 로켓군 신설 등이 이뤄졌다.

그러나 로켓군은 2년 전 고위층이 대규모 부패 사건에 연루되면서 숙청을 당했다. 지난해에는 2015년 신설됐던 전략지원부대를 해체하고 3개 독립 부대로 개편하는 등 추가 개혁도 단행됐다. 이번 열병식에서도 새로운 군 구조 개편안이 나올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허웨이둥 중앙군사위 부주석 불참 =2015년 행사에는 장쩌민·후진타오 전 국가주석과 정치국 상무위원 등 전·현직 최고위 인사들이 함께 자리했다.

그러나 올해는 중앙군사위원회 부주석 허웨이둥 정치국 위원이 모습을 드러내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공식적인 이유는 공개되지 않았으나, 확산 중인 군부 부패 수사의 최대 희생양이 될 수 있다는 보도가 잇따르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번 열병식에 등장하는 군 지휘관들의 면면을 통해 인사 변동과 숙청의 향방을 가늠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김정은·푸틴 참석 =2015년에는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박근혜 당시 한국 대통령, 알렉산드르 루카셴코 벨라루스 대통령 등이 참석했으며, 헝가리·프랑스·이탈리아 외교부 장관과 동남아 각국 대표단도 자리를 함께했다.

올해는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2019년 1월 이후 처음으로 중국을 방문해 행사에 참석할 예정이다. 푸틴 대통령 역시 베이징을 찾으며, 이는 유럽 측 참석 규모를 축소하는 요인이 될 전망이다. 루카셴코 대통령도 초청을 받았다.

또한 시 주석이 올해 첫 해외 순방지로 베트남·말레이시아·캄보디아를 택한 만큼, 동남아 각국이 어떤 수준의 대표단을 파견할지도 관심사다.

◇최신 군사 장비 공개 = 중국은 이번 열병식에서 대함 미사일, 전투 드론, 핵 탑재가 가능한 탄도미사일 등을 공개하며 군사력을 과시할 계획이다. 전투기와 폭격기가 편대 비행을 펼치고, 다수의 신형 무기가 처음으로 모습을 드러낼 것으로 알려졌다.

협동 전투 드론, 극초음속 미사일, 대형 무인 잠수정, 전자전 장비, 대(對)드론 무기 등이 포함될 가능성이 크다.

중국산 무기는 최근 들어 국제 사회에서도 주목을 받았다. 파키스탄은 지난 5월 인도 전투기를 격추하는 과정에서 중국산 PL-15 미사일과 J-10C 전투기를 사용했다고 밝혔다. 이후 중국제 공격 헬기를 새로 도입한 데 이어 첨단 전투기 구매 의사도 밝혔다. 인도네시아 역시 J-10 전투기 도입을 검토하고 있다.

◇철저한 준비와 통제 = 행사 준비 과정에서 중국은 철강·코크스 공장 가동을 제한해 대기 질을 관리하고 있다. 정치 행사 때마다 반복되는 가상사설망(VPN) 차단 조치도 예상된다. 베이징 시민들은 지하철 운행 제한, 상점 폐쇄 등 불편을 겪을 것으로 보인다.


김도연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