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반기 입찰 부족항목 보강대응 못해
내부선 혼란 가중, 투명성 강화 지적
|
7일 업계에 따르면 이달 1일 발표된 '2025년 상반기 풍력 고정가격계약 경쟁입찰'에서는 한국전력 등 공공 프로젝트 4건이 낙찰됐다. 안보·공급망을 강화해 온 정부는 올해부터 '안보' 지표를 신설하고, '산업·경제효과' 지표 내 국내 공급망 기여도 배점을 높였다. 또 공공주도형 부문을 추가하면서 안보·공급망에 초점을 맞추겠다는 정부의 시그널이 강조됐다.
업계에서는 이번 입찰 결과로 민간 사업자들의 안보·공급망을 우선시하겠다는 정부의 평가 기준이 더욱 명확해졌다는 분석이 나온다. 특히 이번에 선정된 4개의 공공주도형 해상풍력 프로젝트는 일제히 두산에너빌리티의 10메가와트(㎿) 터빈 등 국내산 터빈을 사용하기로 했다.
문제는 '투명성'이다. 탈락한 민간 사업자들은 정부의 취지에 공감하면서도 지표별 점수를 비롯해 총점도 공개되지 않아 보강해야 할 지점을 찾지 못하고 있다. 한 달 밖에 준비 시간이 없는 만큼 민간 사업자들은 더욱 혼란에 빠졌다. 상반기 입찰 결과 발표가 지연된 탓에 적어도 10월엔 하반기 입찰 공고가 나와야 한다는 것이 업계 해석이다.
특히 당초 민간 사업자 중 최소 한 곳은 선정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했던 것도 혼란의 원인 중 하나다. 실제 일반 부문에서 떨어진 명운산업개발의 '한빛해상풍력'은 중국 골드윈드가 인수한 '독일의 벤시스' 터빈을 사용할 계획이었다. 중국산 이슈가 있는 한빛해상풍력과 달리 해상3해상풍력(CIP)는 유럽산 터빈으로 정한 바 있다. 이 때문에 일각에선 CIP의 낙찰 가능성을 높게 봤다.
업계 관계자는 "정부의 구체적인 평가 결과를 듣지는 못했다. 부족한 지표의 항목을 문의하고 있지만 아직 답변은 듣지 못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유럽산이든 중국산이든 외국에서 오는 터빈은 외국산으로 분류한다고 판단 중"이라며 "내부에서 자체적으로 해결 방법을 고민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다른 관계자도 "여전히 최소 5년이 걸리는 해상풍력 사업에 뛰어들기 위해 입찰을 준비하는 건데, 최소한 몇 점이 부족했는지 알려준다면 사업의 불확실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업계에서는 국가의 에너지 안보·공급망 강화를 위해 공공의 역할이 필수인 것은 맞지만, 민간의 역할도 중요하다는 의견이다. 당장 5년 뒤엔 풍력의 설비용량을 지금(3.6GW)의 5배 수준인 18.3GW까지 늘려야 하기 때문이다. 특히 상업운전에 돌입한 해상풍력 사업의 비중은 단 0.2%에 불과해 속도감 있는 사업 추진이 필요한 상황이다. 업계 관계자는 "민간 사업자들의 역할도 분명히 있다"며 "공기업만의 생존보다는 자본력과 기술력을 가진 민간 사업자들과의 시너지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