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찰은 수사 상황에 따라 피의자들에 대한 구속영장도 재신청하겠다고 했다.
박현수 서울경찰청장 직무대리는 8일 정례 기자간담회에서 '초등학생 등하굣길 안전 확보'를 위한 종합대책을 시행하겠다고 밝혔다. 대책은 서울 초등학교 602개에 대한 △등하굣길 안전진단 △경력 배치 △아동범죄 신고 대응 강화가 골자다.
등하굣길 안전진단은 구청·교육청 등 관계기관과 합동으로 진행한다. 범죄뿐만 아니라 교통사고 등 위험 요소까지 발굴하겠다는 게 박 직무대리 설명이다. 경력 배치는 담당 경찰서 인력과 함께 기동순찰대를 활용해 녹색어머니회, 자율방범대 등과 협업한다.
또한 신고 대응 강화는 아동 관련 신고가 들어오면 코드 1이상으로 처리한다. 경찰 대응은 코드 0부터 4까지 나뉘는데 숫자가 낮아질수록 시급히 출동해야 하는 긴급 상황으로 간주된다. 그만큼 아동범죄에 대해 실수를 되풀이하지 않겠다는 것이다.
경찰은 지난달 28일 서울 서대문구 한 초등학교에서 20대 3명이 아동들을 납치하려 한 사건으로 초동 대처 논란이 일었다. 당시 학부모들이 신고했는데 경찰이 혐의가 없다며 넘어갔다가 유사한 신고를 추가로 받게 되자 뒤늦게 체포했기 때문이다. 심지어 경찰은 법원에 이들에 대한 구속영장을 신청했는데 지난 5일 기각됐다. 이때 학부모들을 중심으로 비판 여론이 들끓었다.
이와 관련해 박 직무대리는 "아동 사건에 대해서 과하게 확인하고 또 확인했어야 했다"며 "결과적으로 그렇지 못한 점에 대해 매우 아쉽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피의자 휴대폰 포렌식 등 수사를 계속 진행하고 있다"며 "(또 다른) 혐의가 발견되면 영장을 당연히 재신청할 것"이라고 덧붙였다.